- 영문명
-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Self-Differentiation on Burnout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명진(Myeong-Jin Lee) 최유석(You-Seok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7 No.4, 173~19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자아분화수준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아분화수준이 높은 사람은 정서적 성숙도가 높으며, 대인관계에서 정체성과 자율성을 유지하면서 친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역량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아분화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소진의 정도가 낮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80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조사대상자의 자아분화수준은 평균보다 높은 중상수준이었다. 자아분화 하위영역 중에서는 가족투사 영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소진정도는 중간수준 미만이었다. 소진영역 중에서는 정서적 탈진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개인적 성취감 감소, 비인간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자아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소진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분화의 모든 하위영역이 소진과 관련을 맺고 있는데, 가족퇴행과 인지·정서적 기능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목한 가정에서 효과적으로 갈등을 대처한 경험을 지니고, 인지와 정서 기능이 분화되어 감정통제 능력을 지닌 사회복지사의 경우, 소진의 정도가 낮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아분화수준을 높이고, 내적 통찰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아분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참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self-differentiation on burnout. Individuals with a high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show a high level of emotional maturity and intimac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le maintaining a clearly defined sense of self and autonomy. This study posits a hypothesis that social workers who have a higher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burnout because they are better able to cope with str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280 social workers to test this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of social workers is upper middle level. Family projection shows the highest level among the five components of self- differentiation. The level of burnout is lower middle level. The level of emotional exhaustion i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measures of burnout. A higher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is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burnout, which confirms the hypothesis. Among the five components of self-differentiation, the levels of family regression and intellectual vs. emotional function have greater effects on the level of burnout than other components of self-differentiation. Social workers who cope well with conflict and control their emotions experience less burnout. These results imply that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re needed to reduce the level of burnout for social work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선천성면역결핍질환아 간호과정에서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 부모의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과 부모역할 행동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독거여성노인의 스트레스가 무망감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노인복지시설 근무 요양보호사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위기가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 사위의 가족지향성이 장모 부양의식 및 부양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복지관의 북한이탈주민가족 사례관리모델구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 국내 성인입양인의 친생가족 상봉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사회복지사의 자아분화수준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