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폭력을 경험한 상담사의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133
- 영문명
- An Auto-ethnography Research of A Counselor Experienced the Family Violence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김종임(Jonglim Kim) 채선기(Seonki Chae)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0권 제2호, 169~19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문화기술지를 활용하여 가정폭력을 경험한 상담사의 심리상태와 성장 및 극복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경험 및 상담사로서 삶의 태도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기억 자료와 학창 시절의 일기, 성찰 메모, 가족들과의 인터뷰 자료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폭력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류하였고, 폭력이 세대 간에 전수되는 과정을 재구성하여 상담이론으로 극복하고 성장하는 과정이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연구하였다. 어린 시절 겪은 정서적 학대로 인해 연구자에게 내면화된 수치심은 자기중심적인 성격에 영향을 주었기에 유년 시절에는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않았고, 특정한 상황이 되면 몸이 얼어버리거나, 불편한 상황을 피하고자 관계 단절을 선택하기도 했었다. 연구자는 이에 대해 과거의 자신이 처한 상황을 탓하기보다, 스스로 자립하여 꿈을 이루기까지 고군분투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심리적 외상을 극복하기 위해 상담 공부를 시작하였고, 그 중에서도 정서적 학대와 내면화된 수치심을 다스리기 위해 외상 후 성장이론과 인간중심 상담을 공부하였다. 유년기의 고난과 역경을 극복하고 학교 상담사로 성장하여 상담사로서의 갖춰야 할 태도와 괜찮은 어른의 자세를 마련하는 결과를 얻어냈다. 이 연구는 연구자 자신의 자기 이해를 꾀함과 동시에 비슷한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치료의 단서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뜻하지 않은 고난과 역경으로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가는 피해자들과 그들을 상담하는 상담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 counselor’s psychological status who experienced a family violence , various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growing up and overcoming it, and the attitude of life as a counselor with an auto-ethnography research. In order to do this research,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the researcher’s meories, diaries from school days, self-reflection notes and in- terviews with family members. The effect of family violence on spouses or children was classified, and the process of transmission of violence between generations was reconstructed to study how the process of overcoming it with counseling theory was related to the process of growth. Emotional abuse and internalized shame affected self-centered personality, so personal relationships were not smooth, and the research had felt freezing up and chosen disconnection when facing certain situations. Rather than blaming the situation, the researcher have been studying the process of achieving dreams on her own. To overcome psychological trauma, the researcher began studying counseling and person-centered counseling to control emotional abuse and internalized shame. Therefore, overcoming hardships and adversity, the researcher has grown up into a school counselor who has a decent attitude as an adul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treatment clues to those who are struggling with the similar problems along with the researcher’s self-understanding, which are recognizing and accepting internalized shame, emotional abuse, and psychological trauma caused by family violence. Just writing auto-ethnography paper itself can give positive influence and be helpful to victims of abuse and counselors who are suffering from hardships and adversit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0권 제2호 목차
- 진로교육자의 자녀 대학입시 준비과정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소비사회에서 합리적 소비자 되기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청년의 죽음 불안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여행경력자들이 여행몰입과정에서 경험하는 삶의 전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한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생존전략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대학기록관의 기록정보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한 사례연구
- 대학원 공부를 병행하는 중학교 교사의 정체성 재형성 과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가정폭력을 경험한 상담사의 자문화기술지
- 대학생 교양필수 독서토론 실행연구
- 중학생의 진로스토리 구성과 잠정적 진로선택 과정에 대한 탐색
- 비혼모의 자녀 양육비 확보 투쟁에 대한 포토보이스 연구
- 중년 여성 박사 대학원생의 ‘학문적 문해력(Academic Literacy)’ 발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비자살적 자해를 경험한 청년의 삶과 죽음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 나눔에 관한 사례 연구
- 학습지원대상학생을 위한 국내 에듀테크 활용 중재 연구의 효과 및 질적 분석
- 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활용 단일대상연구의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