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 여성 박사 대학원생의 ‘학문적 문해력(Academic Literacy)’ 발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145
- 영문명
- Self-narrative Inquiry on the developmental experience of ‘Academic literacy’ of a middle-aged female Ph.D. graduate student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이해영(Haeyoung Lee) 김영석(Youngsek Kim)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0권 제2호, 293~32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여성의 박사 대학원생 과정의 경험을 통해 습득하는 ‘학문적 문해력’의 의미와 학문적 문해력이 학문적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년 여성의 박사과정 5학기 동안의 학문적 맥락의 경험을 자전적 내러티브탐구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으며, 연구자가 학위과정간 작성한 성찰일지가 주 자료로 분석되었으며, 기억자료, 과제 및 피드백자료 등이 보조자료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자에게 ‘학문적 문해력’은 학문적 소양을 다지기 위한 능력이며, 학문적 공동체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사회적 실천 역량이 되었다. 학문적 문해력이 학문공동체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학업 중 사용하는 언어는 연구자 개인의 삶과 학문적 맥락을 읽어내는 눈이었으며, 지식을 드러내고 그것을 드러내는 행위로서 의미를 형성하고 구체화하는 사회적 실천의 과정이었다. 학문적 공동체내 다른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에 필요한 역량이었으며, 지식을 기저로 한 권력 관계를 깨닫게 하는 비판적 문해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의 고등교육 참여와 학문 환경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전환을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cademic literacy’ as it is acquir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female Ph. D. students and the impact of academic literacy on their identity formation as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For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female in the academic context during the fifth semester of their Ph. D. program were studied through Self-narrative inquiry method, and the researcher’s reflection journals were analyzed as the primary data, and memory data, assignments, and feedback data were used as secondary data. For this researcher, ‘academic literacy’ has become a social practice competency that recognizes and expresses the identity of an academic community. The impact of academic literacy on the formation of academic community identity: the language used during academic work is a lens through which the researcher’s life and academic context are read, and the act of revealing knowledge and making it visible is a social practice that shapes and embodies meaning. It was a competency necessary for interacting with other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and it manifested itself in critical literacy that made them aware of the power relations that underlie knowledg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may provide a basis for a shift in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the growing participation of adult learners in higher education and the academic environment.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학문적 문해력의 발달 경험이야기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0권 제2호 목차
- 진로교육자의 자녀 대학입시 준비과정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소비사회에서 합리적 소비자 되기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청년의 죽음 불안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여행경력자들이 여행몰입과정에서 경험하는 삶의 전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한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생존전략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대학기록관의 기록정보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한 사례연구
- 대학원 공부를 병행하는 중학교 교사의 정체성 재형성 과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가정폭력을 경험한 상담사의 자문화기술지
- 대학생 교양필수 독서토론 실행연구
- 중학생의 진로스토리 구성과 잠정적 진로선택 과정에 대한 탐색
- 비혼모의 자녀 양육비 확보 투쟁에 대한 포토보이스 연구
- 중년 여성 박사 대학원생의 ‘학문적 문해력(Academic Literacy)’ 발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비자살적 자해를 경험한 청년의 삶과 죽음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