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년의 죽음 불안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131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Death Anxiety Experience in Youth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조우관(Woogwan Jo)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0권 제2호, 25~5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의 죽음 불안을 존재와 삶, 문화적 관계 맥락 안에서 이해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2023년 4월에서 2024년 1월에 걸쳐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지자료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기존의 죽음 불안 연구들이 주로 노인층을 대상으로 연구한 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청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존재론적 불안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는지, 기독 신앙의 관계 맥락 안에서 어떠한 죽음 불안 이야기를 형성하는지를 연구 퍼즐로 하였다. 참여자의 죽음 불안 경험을 열어 밝히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의 방법을 활용하였고, 연구 참여자가 살아낸 이야기의 의미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설되지 못한 죽음 불안’, 둘째, ‘삭막한 내면 세계로의 접촉’, 셋째, ‘존재 대 존재의 단절’, 넷째, ‘나를 장악할 자유’이다. 죽음 불안을 발견하고 이해하는 것은 개인에게는 세계 내의 존재로서 살아가는 출발이며 상담 현장과 교회에는 그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o understand young adult’ death anxiety within their existential, life, and cultural contexts..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psychological interviews, and field data surveys from April 2023 to January 2024. While the existing death anxiety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on the elderly, this study focused on young people. The research puzzle was how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 and perceive ontological anxiety and what kind of death anxiety stories are formed with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beliefs. The method of narrative inquiry was used to open and reveal the experience of death anxiety of young person, and the meaningful composition of the story that the study participants survived is as follows. First, it is ‘unexplained death anxiety’, second, ‘contact with the clear inner world’, third, ‘the disconnection of existence versus existence’, and fourth, ‘freedom to take control of me’. Discovering and understanding death anxiety is the beginning of living as a being in the world for an individual, and it will give insight into how to deal with it to counseling sites and churches.
목차
I. 들어가며
II. 연구 과정
III. 연구 참여자의 내러티브 풀어내기
IV. 내러티브를 마치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0권 제2호 목차
- 진로교육자의 자녀 대학입시 준비과정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소비사회에서 합리적 소비자 되기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청년의 죽음 불안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여행경력자들이 여행몰입과정에서 경험하는 삶의 전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한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생존전략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대학기록관의 기록정보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한 사례연구
- 대학원 공부를 병행하는 중학교 교사의 정체성 재형성 과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가정폭력을 경험한 상담사의 자문화기술지
- 대학생 교양필수 독서토론 실행연구
- 중학생의 진로스토리 구성과 잠정적 진로선택 과정에 대한 탐색
- 비혼모의 자녀 양육비 확보 투쟁에 대한 포토보이스 연구
- 중년 여성 박사 대학원생의 ‘학문적 문해력(Academic Literacy)’ 발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비자살적 자해를 경험한 청년의 삶과 죽음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