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혼모의 자녀 양육비 확보 투쟁에 대한 포토보이스 연구
이용수 145
- 영문명
- A Photovoice study of the struggle to secure child support for unmarried mothers: Focusing on destigmatization strategie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강라현(Rahyeon Kang)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0권 제2호, 325~35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부모운동활동가로서 비혼모 자조모임에 참여하면서 양육비 확보 투쟁에 참여하고 있는 비혼모 10인의 경험을 다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Wang과 Burris(1997)가 제안한 포토보이스(Photovoice)방법을 활용했다. 수집된 자료는 Braun과 Clarke(2019)가 제안한 주제분석법(Thematic analysis)으로 접근하여 분석했다. 자료 분석 결과 57개의 개별주제와 16개의 하위 주제가 출현했다. 이를 중심으로 6개의 상위주제를 결집했다. 상위주제는 ‘낙인 속에 묻힌 권리의 발전’, ‘은폐된 ‘나’ 드러내기’, ‘연대와 결속의 중심 자조모임’, ‘여론전쟁에서의 연합전선’, ‘정책 빗장 열기’, ‘끝이 보이지 않는 길’, ‘다시 걷기’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비혼모들은 양육비 확보 권리투쟁을 통해 임파워먼트를 구축했으며 한 쪽 눈을 감는 외눈박이 정책을 개선하기 위한 시도, 자녀 양육비 지급에 있어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지원, 국가 차원의 관심 모색에 대한 구체적 제언을 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als with the experiences of 10 unmarried mothers who participate in the struggle for the secure child support while participating in the self-help group for unmarried mothers as a single-parent activist. For data collection, the Photo Voice method proposed by Wang and Burris(1997)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hematic analysis proposed by Braun and Clarke (2019). 57 individual themes and 16 sub-themes appeared. Based on this, 6 top themes were gathered. Based on this, six top themes were gathered. ‘the development of rights buried in stigma’,‘the concealed “I” disclosure’,‘the central self-help group of solidarity and solidarity’,‘the united front in the war of public opinion’,‘the opening of policy bars’, ‘the endless path, and walking agai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discussed that unmarried mothers built empowerment through the struggle for child support rights, attempted to improve the one-eyed policy to close one eye, and the need for active intervention by the state in child support payments. Finally, I made concrete suggestions for the support of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and the search for national interest.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검토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0권 제2호 목차
- 진로교육자의 자녀 대학입시 준비과정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소비사회에서 합리적 소비자 되기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청년의 죽음 불안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여행경력자들이 여행몰입과정에서 경험하는 삶의 전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한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생존전략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대학기록관의 기록정보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한 사례연구
- 대학원 공부를 병행하는 중학교 교사의 정체성 재형성 과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가정폭력을 경험한 상담사의 자문화기술지
- 대학생 교양필수 독서토론 실행연구
- 중학생의 진로스토리 구성과 잠정적 진로선택 과정에 대한 탐색
- 비혼모의 자녀 양육비 확보 투쟁에 대한 포토보이스 연구
- 중년 여성 박사 대학원생의 ‘학문적 문해력(Academic Literacy)’ 발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비자살적 자해를 경험한 청년의 삶과 죽음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