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소설 기반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향

이용수 404

영문명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 Utilizing Traditional Folktales Based on Pansori Novels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이은자(Eunja Lee)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20호, 315~33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 판소리 소설에 기반하고 있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교육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효녀 심청>, <흥부와 놀부>, <토끼와 자라>는 한국어 교재에 가장 많이 수록된 전래동화 작품이다. 이 세 편의 작품은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예술이자 문학의 형태로서 전 세계적으로 그 예술적,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판소리에 그 서사의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교재는 언어교육 중심의 학습 방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한국의 전래동화 내용을 소개하는 이상의다양한 한국 문화교육을 모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판소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전래동화를 그저 내용의 줄거리 읽기로만 다루게 되면 학습자들은 한국문화에 대해 흥미있게 다가가기 어려울 것이다. 전래동화 텍스트를개연성있는 텍스트로 재화하고, 판소리가 가지고 있는 구연성을 살리는 역할극을 활용하면 단순한 교육도구를 넘어 진정한 한국어교육과 문화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전래동화의 한국어교육적 특성을 살핀후, 이 작품을 수록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판소리 기반 전래동화의 바람직한 한국어교육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ssu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use traditional folktales based on Korean Pansori novels and suggest a direction for improving education. The three tales, “The Tale of Shim Cheong” (“Simcheongjeon”), “Heungbu and Nolbu” (“Heungbujeon”), and “The Rabbit and the Turtle” (“Tokkijeon”), are among the most frequently included work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se three pieces, rooted in Pansori, are recognized globally for their artistic and literary value as representative forms of Korea's traditional arts and literature. However, Korean language education materials are struggling to move beyond the language-centered learning methods, unable to provide diverse Korean cultural education beyond mere introductions of Korean folktale content. If these Pansori-based tales are only treated as simple story content readings, it will be difficult to actively engage learners both in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an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rewriting the folktales to make them more plausible and utilizing role-plays that highlight the oral aspects of Pansori, it is possible to go beyond simple educational tools and achieve genuine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folktales, analyses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include these folktales, and seeks a way forward towards desirable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1. 머리말
2. 선행 연구 검토
3. 판소리 소설 기반 전래동화의 한국어교육적 장점
4. 한국어교육 교재에 반영된 판소리소설 기반 전래동화의 문제
5. 판소리소설 기반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향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자(Eunja Lee). (2024).판소리소설 기반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향. 역사와 융합, (), 315-338

MLA

이은자(Eunja Lee). "판소리소설 기반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향." 역사와 융합, (2024): 315-3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