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키아벨리스트 이승만의 대일역사관(對日歷史觀)

이용수 113

영문명
Machiavellist Syngman Rhee's will to overcome colonial view of history: 1948~1952, Diplomatic actions demanding the return of Tsu Island(Tsushima)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송옥진(Okjin Song) 김석원(Seogweon Kim)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20호, 59~8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마키아벨리스트 이승만이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초기에 전개한 대한민국 영토 규정, 특히 일본을 상대로 수차례 대마도 반환을요구한 내용을 신문 기사와 국제문건을 중심으로 검토하면서 그의 대일외교관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당시 이승만은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해체, 식민사관을 계승한 교과서 편찬 등으로 현대사에 씻을 수 없는 과오를 남겼는데 그러한 이승만마저도 독도영유권은 물론 남쪽 해상 요충지인 대마도에 대한 영토권 인식은 확실히 하고 있었다. 때문에 대일항쟁시기 불법으로 탈취해간 역사서와 유물의 반환 없이는 대일협상은 없다고 강력하게 주장하기도 하였다. 현재 대한민국 정체성 상실의 가장 큰 원인은 국가철학 및 주체적인 역사관의 부재이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가 없다는 신채호의말을 증명이라도 하듯이 조선사편수회의 조선사편찬 이후 매국 역사학자는아무런 비판과 검증 없이 일제의 식민사관을 계승하면서 역사학계에 중요 요직을 차지해 온 반면, 독립운동가의 역사 인식을 계승한 학자들은 매국역사학자들의 온갖 비난과 횡포를 면치 못하는 게 오늘날 대한민국 학계의 현실이다. 역사관이 없으니 헌법에 임시정부를 계승한다고 명기되어 있음에도 정작 독립운동가들이 중시한 건국기념절인 개천절은 무시하면서 대한민국 건국절 논쟁을 벌이더니 급기야 건국전쟁이라는 영화를 가지고 이념전쟁마저벌이는 시국이다. 21세기 한국은 주변국과의 역사분쟁이 계속되고 있다. 역사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대한민국 사회는 이를 좌파의 주장으로 몰아붙이는경향이 있는데 역사문제는 좌우를 넘어서는 범국가적인 사안이다. 일부 보수층에서 추앙하는 이승만조차 일본의 역사침탈에 대응하여 강력한 영토 귀속을 주장한 점은 현재 대한민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mind us that whenever a historical issue arises, Korean society criticizes it as a left-wing argument, but that historical issues are a national issue that goes beyond the left and right. In the 21st century, Korea continues to have historical disput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Machiavellist If you look at Syngman Rhee's actions, you can see many Machiavellian tendencies in the overall administration of state affairs, using all means and methods to achieve immediate political goals rather than judging them based on moral values. We will examine Syngman Rhee's diplomatic views toward Japan by examining the territorial regula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were developed in the early days of his inauguration as the first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especially his repeated demands for the return of Tsushima Island to Japan, focusing on newspaper articles and international documents. At the time, Syngman Rhee left an irreparable mistake in the world of national history by disbanding the anti-people special committee and compiling textbooks that inherited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Even Syngman Rhee was clearly aware of the territorial rights to Tsushima Island, a strategic point in the southern seas, as well as sovereignty over Dokdo. Therefore, he strongly argued that there would be no negotiations with Japan without the return of history books and relics that had been illegally taken during the uprising against Japan. The biggest reason for the current loss of Korean identity is the absence of a national philosophy. As if to prove Shin Chae-ho's words that a people who have forgotten history have no future, since the Joseon History Compilation Society's compilation of Joseon history, traitorous historians have occupied key positions without any criticism or verification, while scholars who inherited the independence activists' historical awareness have faced trials and media criticism. Today's Korean academia cannot avoid this. Since they have no view of history, they write in the constitution that they will succe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but they ignore Gaecheon Day, the national founding day that independence activists value, and debate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end, they are even waging an ideological war over a movie called The National Foundation War.

목차

1. 머리말
2. 이승만의 대마도 반환 요구
3. 대마도에 관한 영토 인식
4. 이승만의 식민사관 극복 의지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옥진(Okjin Song),김석원(Seogweon Kim). (2024).마키아벨리스트 이승만의 대일역사관(對日歷史觀). 역사와 융합, (), 59-88

MLA

송옥진(Okjin Song),김석원(Seogweon Kim). "마키아벨리스트 이승만의 대일역사관(對日歷史觀)." 역사와 융합, (2024): 59-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