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익광고 언어의 문장 변화 양상 연구

이용수 103

영문명
A Study on the Changes in Sentence Patterns of Public Service Advertising Language: Focusing on the Style of Print and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1981-2020)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고혜원(Hyewon Ko)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20호, 281~31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981년부터 2020년까지 제작된 인쇄 및 TV 공익광고856편의 언어를 분석하여 공익광고 언어의 문체 및 설득 전략의 변화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인쇄 공익광고 언어는 문장은 간결해지고 평서문과 의문문을 활용하여 국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 격식체의 사용은 줄고 비격식체의 사용이 증가하여 메시지 수용자와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고 있다. 다음으로 TV 공익광고 언어는 내레이션, 대화, 자막이 각각 정보 전달, 생동감 부여, 핵심 메시지강조 역할을 수행한다. 내레이션의 변화는 인쇄 공익광고 언어와 유사하며, 최근의 광고에서는 대화의 비중이 증가했으며, '해체', '해요체' 등을 사용하여현실감 있는 언어로 설득 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공익광고 언어의 거시적인 변화 양상을 고찰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nguage of 856 print and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roduced from 1981 to 2020 to examine changes in the style and persuasion strategy of th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language. In the printed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 language, sentences are simplified and plain text and questionnaire are used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people. The use of formalities is decreasing and the use of non-formal forms is increasing, narrowing the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message recipient. Next, in the TV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 language, narration, conversation, and subtitles play a role in delivering information, giving vitality, and emphasizing key messages, respectively. The change in nar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printed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 language, and in recent advertisements, the proportion of conversation has increased, and the persuasion effect is enhanced in a realistic language by using 'decomposition' and 'reaction'. Through this analysis result,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macroscopic changes in the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 language.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및 시대 구분
3. 인쇄 공익광고의 문장 유형과 문체 특징
4. TV 공익광고의 구성과 문체 특징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혜원(Hyewon Ko). (2024).공익광고 언어의 문장 변화 양상 연구. 역사와 융합, (), 281-312

MLA

고혜원(Hyewon Ko). "공익광고 언어의 문장 변화 양상 연구." 역사와 융합, (2024): 281-3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