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Utilizing AI in Liberal Arts Education
이용수 77
- 영문명
- Utilizing AI in Liberal Arts Education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유경애(Kyongae Yu)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0호, 221~23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학습자의 풍부한 학습 경험, 비판적 사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해 AI가 교육적 도구로서 교양교육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분석하고, 윤리적이고 책임감 있는 AI 사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윤리적 AI 리터러시” 의 개념을 제시한다. 또한 교양교육에서 AI를 활용한 학제간 교양강좌의 개설을 4개 범주로 나누어 제시하고 인간과 AI의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논의한다. AI시대의 미래 교양교육은 인간중심적인 관점에서 인간과 AI의 상보적 관계와 윤리적 AI리터러시의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provide insights into how AI can be integrated into liberal arts education to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Beginning with an elucidation of AI technologies as educational tools, this paper presents the concept of ethical AI literacy and proposes four categories of interdisciplinary AI liberal arts subjects. This paper suggests the complementary roles of human intellect and AI to enrich teaching methodologies and learning experiences.
목차
1. Introduction
2. AI Technologies as Educational Tools
3. Ethical AI literacy
4. Four Categories of Interdisciplinary AI liberal Arts Subjects
5. Concluding Remark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와 융합 제20호 목차
- 마키아벨리스트 이승만의 대일역사관(對日歷史觀)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와 ‘일제 통 감부에 의한 본격적 공창제도의 시작’에 관한 연구
- [해외도서번역] 《고본죽서기년집증》 초벌번역 6편
- 고대 정전제의 시원 문제와 고조선
- 일제강점기 권번 기생의 일람표 연구(4)
- 문화재 야행이 지역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Utilizing AI in Liberal Arts Education
- 공익광고 언어의 문장 변화 양상 연구
- 판소리소설 기반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향
- 시멘틱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신정심상소학』 (1896)의 교육적 특성 연구
- [문화 이슈] 《대한민국 역사교과서 1·2》 발간에 부쳐―김훈의 장편 소설 《하얼빈》을 ‘비판적’으로 다시 소환하다
- 십성 및 궁위론을 활용한 부모 자녀 갈등 시기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