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대 정전제의 시원 문제와 고조선
이용수 62
- 영문명
- The origin problem of the ancient ‘Nine-Squares Field System’ and the Gojoseon Dynasty: Centering on Mengzi's comparisons to the Xia, Yin, and Zhou eras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이찬구(Changoo Lee)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0호, 7~57쪽, 전체 5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8,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300여 년 전 맹자가 언급한 하은주(夏殷周)시대의 정전제(井田 制)와 주역에서 언급한 정전제의 내용을 각각 알아보고, 중국의 세 나라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고조선의 시각에서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정전제의 시원에 대해 주자는 은(殷)나라에서 시작되었다고 했고, 왕부지는 황제(黃帝)가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했다. 박지원은 주공(周公)을 정전의 창안자로 보았으나, 그의 조상인 공류(公劉)를 주대(周代) 정전제의 연원으로 보는 주장도 있다. 반면에 한국의 이이, 한백겸, 정약용 등은 우리의정전제는 기자(箕子)에 의해 도입되었다고 주장했다.
필자는 신채호의『조선상고사』, 이승휴의『제왕운기』, 이암의『단군세기』와 하가점하층문화에서 출토된‘정전벽돌’(가칭)과의 교차 검증에 의해고조선에서 정전제가 처음으로 시작되었고, 중국의 하은주에 영향을 주었다고 밝혔다. 이번 정전제 연구가 앞으로 고조선 문명과 동북아 문명 이해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ine-square field system’ (NSFS, Jeongjeonje井田制) of the Xia(夏), Yin(殷), and Zhou(周) Dynasties mentioned by Meng zi(孟子) over 2300 years ago and the NSFS mentioned in The I Ching or Book of Changes(周易), respectively, and to consider its origin from the perspective of Gojoseon Dynasty(Dangun-Joseon), away from these three countries-centered studies in China.
Meng zi initially called it ‘Well Field’ (井地, Jing di) instead of NSFS, but later Zhū Xī(朱熹) called it NSFS and this name became common.
Meng zi argued that for a monarch to practice virtuous politics, the boundaries of the land must be rightly governed, and said that the NSFS was fundamental to royal politics of virtue. The Book of Changes draws attention to the well at the heart of NSFS. The well is neither scarce nor overflowing, neither harmful nor beneficial to anyone, so we should imitate it and practice an equitable royal politics of virtue(王道政治).
Regarding the origin of this NSFS, Zhū Xī said it originated in the Dynasty of Yin, while Wang Fuzhi(王夫之) said it was first created by Huangdi(黃帝).
While Park Ji-won views Zhougong as the creator of NSFS, there are also arguments to view his ancestor Gong Liu (公劉) as the originator of NSFS in the Dynasty of Zhou. On the other hand, Lee yi, Han Baek-gyeom, Jeong Yak yong, and others have argued that NSFS in Korea was introduced by jizi(箕子).
By cross-examining Shin Chae-ho's “Joseon-sanggosa(朝鮮上古史)” Lee Seung-hue's “Ghewang-ungi(帝王韻記)” and Lee Am's “Dangun-segi(檀君 世紀)” with “NSFS-brick(정전벽돌)” excavated from the Lower Xiajiadian culture(夏家店下層文化), I found that NSFS originated in Gojoseon and influenced the Xia, Yin, and Zhou Dynasties in China.
It is hoped that this NSFS study will help understand Gojoseon and Northeast Asian civilizations in the future.
목차
1. 문제의 제기
2. 맹자와 주역의 정전론
3. 우(禹)와 주대(周代)의 정전제에 대한 분석
4. 고조선 정전제와 하가점하층문화의‘정전벽돌’
5. 정전제의 시원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
6.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와 융합 제20호 목차
- 마키아벨리스트 이승만의 대일역사관(對日歷史觀)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와 ‘일제 통 감부에 의한 본격적 공창제도의 시작’에 관한 연구
- [해외도서번역] 《고본죽서기년집증》 초벌번역 6편
- 고대 정전제의 시원 문제와 고조선
- 일제강점기 권번 기생의 일람표 연구(4)
- 문화재 야행이 지역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Utilizing AI in Liberal Arts Education
- 공익광고 언어의 문장 변화 양상 연구
- 판소리소설 기반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향
- 시멘틱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신정심상소학』 (1896)의 교육적 특성 연구
- [문화 이슈] 《대한민국 역사교과서 1·2》 발간에 부쳐―김훈의 장편 소설 《하얼빈》을 ‘비판적’으로 다시 소환하다
- 십성 및 궁위론을 활용한 부모 자녀 갈등 시기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