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십성 및 궁위론을 활용한 부모 자녀 갈등 시기 고찰
이용수 81
- 영문명
- A Study on the Time of Conflic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Using Sipseong(十星) and Gungwi(宮位) Theory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정은선(Eunsun Chung)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0호, 237~279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 목적은 부모와 자녀 간 갈등 시기를 중심으로 부모와 자녀 사주의 특성 및 명리학적 상관관계가 있는지 궁과 십성을 활용하여 살펴보고 갈등 해소를 위한 심리 상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궁과 십성을 활용하여 사주특성 및 대운을 오행, 십성, 합충형극 등 주요 명리학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녀 사주에서 오행 및 십성의 태과와 불급이 다수 보이는데 무재성, 무인성, 재극인, 인성과다 등은 결과를 이루기 힘들거나 학문적 성취가쉽지 않아 보인다. 비겁과다로 늘 빼앗길 것 같은 불안감이 존재할 수 있고 신약하고 한습한 경우 가족과의 인연이 약해지고 부정적 성향이 커질 수 있다. 지지의 금목상전, 수화상전 등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으며 편성된 일지십성은 문제아적 성향을 드러낼 수 있다. 사주원국은 잠재적 요인이므로 자녀나 부모 사주에서 부모 및 자녀의 궁과 성으로 대운과 합충형극을 고려하여 상호작용을 분석해 불 수 있다. 이에 자녀의 명리 특성 및 궁과 십성을 통한 부모-자녀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추후 상담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clear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and children's owners, focusing on the period of conflic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to help psychological counseling to resolve the conflict.
As a research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ju(四柱) and Daeun(大運) were analyzed using Gung(宮) and Sipseong(十星) to analyze major element of Myeongli such as the Five-elements(五行), the Sipseong(十星), and the HapChungHyungGuk(合沖刑剋).
As a result, there are the many and few of the Five-elements(五行) and Sipseong(十星) in the child's owner, but it seems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results or achieve academic achievements such as MuJaeseong(無財星), MuInseong(無印星), and JaeGukIn(財剋印) and excessive InSeong(印星). You may feel like you're always going to be taken away by excessive BiGeob(比劫). If Saju(四柱) are weak and cold and damp, your relationship with your family may weaken and your negative tendency may increase.If JiJi(地支) collides with each other and is biased, it can show a problematic tendency. It is also worth referencing the interaction of Daeun(大運) and HapChungHyungGuk(合沖 刑剋) from children or parents' Saju(四柱) to parents-children's Gung(宮) and Seong(十星) because The origin of Saju(四柱) is a potential factor.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counseling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s Saju(四柱)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rough the Gung(宮) and Sipseong(十星).
목차
1. 서론
2. 십성의 특성과 궁위론에 대한 이해
3. 부모-자녀 갈등을 일으키는 명리학적 요인
4. 부모-자녀 갈등 시기의 사례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와 융합 제20호 목차
- 마키아벨리스트 이승만의 대일역사관(對日歷史觀)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와 ‘일제 통 감부에 의한 본격적 공창제도의 시작’에 관한 연구
- [해외도서번역] 《고본죽서기년집증》 초벌번역 6편
- 고대 정전제의 시원 문제와 고조선
- 일제강점기 권번 기생의 일람표 연구(4)
- 문화재 야행이 지역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Utilizing AI in Liberal Arts Education
- 공익광고 언어의 문장 변화 양상 연구
- 판소리소설 기반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향
- 시멘틱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신정심상소학』 (1896)의 교육적 특성 연구
- [문화 이슈] 《대한민국 역사교과서 1·2》 발간에 부쳐―김훈의 장편 소설 《하얼빈》을 ‘비판적’으로 다시 소환하다
- 십성 및 궁위론을 활용한 부모 자녀 갈등 시기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