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호동기이론을 적용한 레스토랑 경영자의 기후변화 불안감과 친환경 운영 전환 의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4
- 영문명
- Exploring Restaurant Managers’ Climate Change Anxiety and Intention in Transitioning to Eco-Friendly Operations based o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Moderating Effects of Ascribed Responsibility
- 발행기관
- 한국외식경영학회
- 저자명
- 김정연(Jungyon Kim) 조미희(Meehee Cho)
- 간행물 정보
- 『외식경영연구』27권 3호, 161~18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 불안감이 존재하는 위협적인 상황에서 레스토랑 경영자들의 인식과 태도를 고려하여 친환경 운영으로의 전환으로 이어지는 행동변화 과정을 예측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로 보호동기이론(PMT)을 적용하여 레스토랑 경영자의 기후변화 불안감, 인지적 매개 과정의 위협평가(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취약성)와 대처평가(반응 효능감, 자기 효능감), 보호동기, 그리고 친환경 운영 전환 의도의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레스토랑 경영자의 환경친화적 운영에 대한 인지적 매개 과정과 보호동기, 보호동기와 친환경 운영 전환 의도의 관계에서 환경적 책임의식에 따른 조절효과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레스토랑 경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323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후변화 불안감은 레스토랑 경영자의 인지적 매개 과정인 위협평가와 대처평가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위협평가의 인지된 심각성과 대처평가의 자기 효능감만이 보호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적 책임의식에 따른 조절효과는 인지된 매개 과정의 인지된 심각성, 반응 효능감, 자기 효능감과 보호동기 사이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환경적 책임의식이 높을수록 보호동기를 보다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상황에서 레스토랑 경영자의 친환경 운영 전환 결정과 관련된 중요한 변수들 사이의 통합적인 메커니즘에 관한 이론적 시사점과 소상공인들의 친환경 운영 전환을 위한 실효성 있는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Protection Motivation Theory(PMT) was applied as a theoretical model to predict the process of behavioral change in restaurant managers’ towards transitioning to eco-friendly operations, considering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s in the threatening situation of climate change anxiety. Our results showed that climate change anxie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reat evaluation and coping evaluation. Further, only factors, perceived severity of threat evaluation and self-efficacy of coping evaluation, exhibited a significant effect on protection motivation.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ascribed responsibil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impact of perceived severity, response efficacy, and self-efficacy on protection motivation. Our findings can be employ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for promoting restaurant managers’ towards transitioning to eco-friendly oper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조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베이커리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전공만족도 매개효과
- COVID-19로 인한 고객 불평 행동이 호텔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무인 밀키트 판매점의 선택속성이 관계의 질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 조식 판매촉진 전략이 브랜드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유튜브 미식관광 콘텐츠 특성이 몰입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보호동기이론을 적용한 레스토랑 경영자의 기후변화 불안감과 친환경 운영 전환 의도에 관한 연구
- 한 교수자의 외식 프랜차이즈 수업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푸드카빙데코레이션의 체험 요소가 감정반응과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푸드코트 단체급식의 선택속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기한 표시제도의 인식이 소비자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HMR(Home Meal Replacement) 선택속성이 브랜드 이미지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시니어 외식창업자의 개인적역량이 경영성과와 경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과 공중관계성, 기업이미지 및 기업평판 간의 구조적 관계
- 외식경영연구 27권 3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