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이커리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전공만족도 매개효과
이용수 72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bakery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외식경영학회
- 저자명
- 신태화(Tae Hwa Shin)
- 간행물 정보
- 『외식경영연구』27권 3호, 5~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베이커리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전공만족도 매개효과를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서 베이커리전공을 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 중 개인적 동기, 사회적 동기는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있어 개인적 동기가 사회적 동기에 비해 상대적 영향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인 개인적 동기의 회귀계수가 2단계보다 감소하면서 변화가 없이 유의미하였고, 매개변수인 전공만족도 또한 유의미하게 나타나 전공만족도는 개인적 동기와 진로결정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갖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수인 사회적 동기의 회귀계수가 유의미하지 않은데 매개변수인 전공만족도는 유의미하게 나타나 전공만족도는 사회적 동기와 진로결정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akery and career decis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akery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ersonal motivation and social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among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personal motivation has a greater impact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than social motivation. Second, majo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individual motivation, an independent variable, decreased from stage 2, and major satisfaction, a parameter, satisfaction has a partial mediating con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베이커리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전공만족도 매개효과
- COVID-19로 인한 고객 불평 행동이 호텔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무인 밀키트 판매점의 선택속성이 관계의 질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 조식 판매촉진 전략이 브랜드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유튜브 미식관광 콘텐츠 특성이 몰입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보호동기이론을 적용한 레스토랑 경영자의 기후변화 불안감과 친환경 운영 전환 의도에 관한 연구
- 한 교수자의 외식 프랜차이즈 수업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푸드카빙데코레이션의 체험 요소가 감정반응과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푸드코트 단체급식의 선택속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기한 표시제도의 인식이 소비자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HMR(Home Meal Replacement) 선택속성이 브랜드 이미지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시니어 외식창업자의 개인적역량이 경영성과와 경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과 공중관계성, 기업이미지 및 기업평판 간의 구조적 관계
- 외식경영연구 27권 3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