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설명하기 역량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과정 자료 분석 연구
이용수 194
- 영문명
- Research on Analyzing Curriculum Materials for Explaining in terms of a Practice-Based Teacher Education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원(Dong-Won Kim) 김연(Yeon Kim)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4권 2호, 255~28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수학 교사의 설명하기 역량의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된 교사교육과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고한다. 분석을 위한 두가지 관점은 교육과정 체계의 파악을 위한 실제-기반 교사교육(a practice-based teacher education, 이하 PBTE)과 설명하기의 구체적 내용 분석을 위한 구성주의 학습 환경(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이하 CLE)이다. 연구 자료는 미국에서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TeachingWorks가 개발한 자료를 한국에서 중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번역한 교사교육과정 자료이다. 연역적코딩을 통해, PBTE가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사교육과정에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세 가지 요소가 본 연구 자료에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뿐만 아니라, CLE가 반영된 설명하기 역량이 학습 대상으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사례를 가지고 제시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관한 체계화된 기준과 역량, 교사교육자의 전문성 제고 노력 및 상호 협력 체제에 대하여 논의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and reports o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materials developed to enhance the explaining skills of mathematics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s of practice-based teacher education (PBTE) and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CLE). Originally developed by TeachingWorks, these materials include three main types of explaining (demonstrating, explaining, and modeling) and aim to develop preservice teachers' abilities to select and use the appropriate type of explaining in different pedagogical situations. Through this analysis, the paper shows how the three elements that PBTE argues are necessary for enhancing teacher professionalism are operationalized in the study materials and how the ability to explain, reflecting CLE, is incorporated as a learning objectiv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aper highlights consider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BTE aimed at enhancing teacher professionalism in the classroom.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틀
III. 자료 및 분석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에서 수학 내적 연결의 구체화 방안 모색
- 교사의 수업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수학 흥미와 자기효능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23년 수학교육 정책사업의 성과와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증명과 정당화 사이의 관계를 바라보는 국내 수학교육 연구의 관점 탐색
- 로봇을 활용한 기하 교수·학습 환경에서 초등학생의 각에 대한 수학적 의미 형성
- Mathematical, experimental and metaversal approaches to catenoid in geometry education
- 수학 학습을 안내하는 수학적 태도 및 실천 평가 피드백의 활용
- 수학교육에서의 인공지능
- 베이즈 통계학의 교수학적 분석과 학교수학에서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수학교육학연구 제34권 2호 목차
- 교사의 설명하기 역량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과정 자료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