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과정에서 수학 내적 연결의 구체화 방안 모색
이용수 117
- 영문명
- An Actualization Way of Mathematical Internal Connection in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Horizontal Connection of Mathematical Concept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예진(Ye-Jin Lee) 장혜원(Hyewon Chang)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4권 2호, 231~25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과정 내 성취기준의 연결을 명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뉴욕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수학적 개념의 수평적 연결 반영 양상을 파악한다. 이에 뉴욕주 성취기준을 우리나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영역에 맞게 재구조화하고 영역 내 연결과 영역 간 연결로 구분하여 반영 횟수 및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의 구성적 방법 측면과 관계적 내용 측면에서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New York State curriculum to identify reflection patterns of horizontal connections of mathematical concepts. We divided horizontal connection into connection within domain(WD) and connection between domains(BD) and analyzed the number and patterns of reflections by grade and type. Based on the results, we derived implications for realizing connections in our curriculum in terms of constitutive method and relational content aspect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분석 결과
V. 결론 및 논의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에서 수학 내적 연결의 구체화 방안 모색
- 교사의 수업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수학 흥미와 자기효능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23년 수학교육 정책사업의 성과와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증명과 정당화 사이의 관계를 바라보는 국내 수학교육 연구의 관점 탐색
- 로봇을 활용한 기하 교수·학습 환경에서 초등학생의 각에 대한 수학적 의미 형성
- Mathematical, experimental and metaversal approaches to catenoid in geometry education
- 수학 학습을 안내하는 수학적 태도 및 실천 평가 피드백의 활용
- 수학교육에서의 인공지능
- 베이즈 통계학의 교수학적 분석과 학교수학에서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수학교육학연구 제34권 2호 목차
- 교사의 설명하기 역량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과정 자료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