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증명과 정당화 사이의 관계를 바라보는 국내 수학교육 연구의 관점 탐색
이용수 75
- 영문명
-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of and Justification in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노정원(Jeong-Won Noh)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4권 2호, 209~2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5/1057292.jpg)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용어 선택과 관련된 이슈가 있었던 ‘증명’과 ‘정당화’라는 두 용어 사이의 관계를 국내 수학교육 연구 영역에서 어떻게 바라보아 왔는지에 관해 탐색해보기 위하여 관련 국내 연구 문헌들에서의 용어 사용 방식을 분석해보았다. 연구 결과 증명과 정당화를 정의하는 방식에서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증명과 정당화 사이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 상의 다양성과경향성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다루어져 온 두 용어 사이의 관계에 관한 학술적인 논의의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rms “proof” and “justification,” which posed issues related to terminology selection during the revision of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has been perceived in the field of domestic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Conduct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e analyzed the usage of these terms in relevant domestic research literature. The analysis revealed variations in defining proof and justification, highlighting diverse perspectives and trends regarding their relationship.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a scholarly foundation for ongoing discussions on the closely intertwined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term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CONFLICTS OF INTEREST
ACKNOWLEDGEMENT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에서 수학 내적 연결의 구체화 방안 모색
- 교사의 수업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수학 흥미와 자기효능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23년 수학교육 정책사업의 성과와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증명과 정당화 사이의 관계를 바라보는 국내 수학교육 연구의 관점 탐색
- 로봇을 활용한 기하 교수·학습 환경에서 초등학생의 각에 대한 수학적 의미 형성
- Mathematical, experimental and metaversal approaches to catenoid in geometry education
- 수학 학습을 안내하는 수학적 태도 및 실천 평가 피드백의 활용
- 수학교육에서의 인공지능
- 베이즈 통계학의 교수학적 분석과 학교수학에서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수학교육학연구 제34권 2호 목차
- 교사의 설명하기 역량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과정 자료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