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 학습을 안내하는 수학적 태도 및 실천 평가 피드백의 활용
이용수 66
- 영문명
- Using the Mathematical Attitudes and Practices Assessment Feedback to Guide Mathematics Learning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철민(Chul Min Kim) 김선희(Sun Hee Kim)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4권 2호, 341~36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생들의 수학 학습 평가는 수학 학습을 돕는 목적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및 실천 평가 결과 또한 후속 학습을 돕는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본 연구는 수학 학습을 안내하는 수학적 태도 및 실천 평가 피드백이 어떤 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2명의 교사와 8명의 고등학생이 학생의 수학적 태도 및 실천에 대해 판단하게 한 결과, 교사보다 학생이 자신의 태도 및 실천 역량에 대해 검사도구의 평가 결과와 더 일치된 판단을 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태도 및 실천 검사결과와 피드백을 바탕으로 8주간 수학 학습을 진행하였더니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및 실천 역량의 유형 변화와 수학 성취도의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수학적 태도 및 실천 검사의 확대 실시, 태도 및 실천 결과를 활용한 학생 맞춤형 지도, 대규모 양적 연구, 태도 및 실천 함양에 대한 안내 자료 등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If we assess students' math learning, we sh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help them learn math. In this regard, the assessment feedback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practices should guide their subsequent learning. This study examined how the assessment results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practice guide math learning. When 2 teachers and 8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judge the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s and practices, students tended to judge their own attitudes and practical competencies more likely than teachers to the assessment results. In addition, after eight weeks of mathematics learning based on the feedback of the attitude and practice test, positive changes were found in the types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practical competencies and their math achievement. Through this, we suggest that the mathematical attitudes and practices online test should be extended to schools, as well as the follow-up studies on the individual instruction, large-scale quantitative research, and rich guidance material development on fostering mathematical attitudes and practice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에서 수학 내적 연결의 구체화 방안 모색
- 교사의 수업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수학 흥미와 자기효능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23년 수학교육 정책사업의 성과와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증명과 정당화 사이의 관계를 바라보는 국내 수학교육 연구의 관점 탐색
- 로봇을 활용한 기하 교수·학습 환경에서 초등학생의 각에 대한 수학적 의미 형성
- Mathematical, experimental and metaversal approaches to catenoid in geometry education
- 수학 학습을 안내하는 수학적 태도 및 실천 평가 피드백의 활용
- 수학교육에서의 인공지능
- 베이즈 통계학의 교수학적 분석과 학교수학에서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수학교육학연구 제34권 2호 목차
- 교사의 설명하기 역량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과정 자료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