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로봇을 활용한 기하 교수·학습 환경에서 초등학생의 각에 대한 수학적 의미 형성
이용수 124
- 영문명
- Mathematical Meaning-Making of Angles among Elementary Students in a Geometry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Utilizing Robots: Focus on Assemblage and Gesture-Diagramming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인(Youngin Kim) 서유민(Yumin Seo) 이경화(Kyeong-Hwa Lee)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4권 2호, 317~34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로봇을 활용한 기하 학습 환경에서 초등학생이 각에 대한 수학적 의미를 어떻게 형성하는지, 그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포괄적 유물론의 관점에서 배치와 학생들의 제스처-다이어그래밍에 주목하여 수학적 의미 형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로봇의 바라보는 방향에 관한 가능성의 실재화 제스처-다이어그래밍을 통해 각의 개념을 정교화하였고, 로봇이 도형에서 총 회전하는 움직임에 관한 잠재성의 현실화 제스처-다이어그래밍을 통해 각의 동적 관점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각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형성할 수 있는 교수·학습 사례를 보여주며, 로봇이 수학 교수·학습에 의미 있는 기호적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elementary students form mathematical meanings for angles within a geometry learning environment utilizing robots. Employing the inclusive materialism perspective, it focused on the assemblage and students’ gesture-diagramming to analyze the process of mathematical meaning-mak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refined the static perspective of angles through gesture-diagramming that realizes the possible, aligned with the direction the robot was facing and formed the dynamic perspective of angles through gesture-diagramming that actualizes the virtual, aligned with the robot's total rotational movement in polygons. These findings illustrate teaching and learning cases that can form diverse perspectives on angles and highlight the potential of robots as significant semiotic resources in mathematics educatio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에서 수학 내적 연결의 구체화 방안 모색
- 교사의 수업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수학 흥미와 자기효능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23년 수학교육 정책사업의 성과와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증명과 정당화 사이의 관계를 바라보는 국내 수학교육 연구의 관점 탐색
- 로봇을 활용한 기하 교수·학습 환경에서 초등학생의 각에 대한 수학적 의미 형성
- Mathematical, experimental and metaversal approaches to catenoid in geometry education
- 수학 학습을 안내하는 수학적 태도 및 실천 평가 피드백의 활용
- 수학교육에서의 인공지능
- 베이즈 통계학의 교수학적 분석과 학교수학에서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수학교육학연구 제34권 2호 목차
- 교사의 설명하기 역량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과정 자료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