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별자리목록과 천문성변기록 분류 연구
이용수 20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ar Chart of Silla, and a Classification of Its Astronomical Abnormalities as Recorded in the Samguksagi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김일권(Il-gw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32집, 567~743쪽, 전체 17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24,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필자가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천변기록 분류 범주 편목안에 따라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천변기록을 분류하고, 이 중 성변기록을 중심으로 이를 중국사의 천변기록과 비교하여 『삼국사기』 「신라본기」 천변기록의 성격을 판명하려 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삼국사기』 「신라본기」 천변기록의 일부 오류를 교정하는 한편, 신라의 천문관측성의 독자성과 독립성을 확인하려 하였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천변기록 중, 성변기록은 크게 5시기의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1기(2세기 이전 건국기)의 성변기록은 『한서』·『후한서』 등 중국의 성변기록을 참조한 것이 많다고 판단되며, 이후 약 500년간 성변기록은 공백을 보인다. 이후 제2기(7세기 통일기), 제3기(8세기 전반기), 제4기(8세기 후반기), 제5기(9세기 전반기) 중 특히 제2기, 제3기에는 첨성대의 건립을 시작으로 천문제도가 정비되고 당의 역법·천문도가 수입되었다. 이를 반영하듯, 이 시기 이후 「신라본기」의 성변기록에서는 독립적, 독자적 성격이 두드러진다. 성변의 발생 위치나 參大星 등의 독자적 성좌명, 숫자기일법 등의 특징 또한 신라 성변기록의 독자적 가치를 밝혀주는 것으로 주목된다.
『삼국사기』의 삼국 「본기」에 수록된 혜패성 기록을 함께 검토하였을 때, 삼국기와 달리 통일기 신라의 혜패성 기록은 중국 기록과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혜성 기록 중 핼리혜성에 대한 기록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 밖에 『삼국사기』의 태백주현 기록 또한 대체로 간소하다는 한계가 있지만, 독자성이 높은 것으로 주목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classified the records on astronomical heavenly abnormalities(天變) in the Annal of Silla in Samguksagi,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and catalog chart on astronomical heavenly abnormalities’ I already wrote in the earlier paper. Then, I compared them with the ones, mainly astronomical abnormalities of stars(星變), in Chinese historical books. Thereby, I tri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in Samguksagi. Consequently, I could correct a few errors of the records in Samguksagi, and find out originality and independence of them, recorded in Silla.
I could divide a timeline of astronomical abnormalities of stars fundamentally by five eras. Records in the 1st era(~2th century, the era of founding states) seem to refer to the ones of Chinese books like Book of Han(『漢書』) and Book of Later Han(『後漢書』). After that era, there is a vacuum period for nearly 500 years. The other eras are the 2nd era(7th century, the era of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3rd era(early 8th century), 4th era(late 8th century), and 5th era(early 9th century). Astronomical observation of Silla was systemized after the construction of Cheomseongdae(瞻星臺), and Silla imported calendar systems and celestial maps of Tang dynasty, in the 2nd and 3rd era. Since then, I could find original and independent characters of the records on astronomical abnormalities of stars in the Annal of Silla. Especially, some aspects of records like the occurrence locations of abstronomical abnormalities of stars, original names of stars in Silla, date-counting methodology by numbers(not sexagenary names) show the rich value of it.
I also analyzed the records on the guest stars(comets) in the Annals of Three kingdoms in Samguksagi. By this way, I could find out that the records of unified Silla have abundant originality comparing with the Chinese ones, not like the record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before the unification. Meanwhile, there were no records on Halley’s comet in Samguksagi. Although the records on ‘the appearance of Venus in the daytime(太白晝見)’ in Samguksagi is not so many and detailed, those records are also rich in originality.
목차
Ⅰ. 「신라본기」 천변기록의 분류
Ⅱ. 「신라본기」의 성좌명 성변기록 분리
Ⅲ. 신라초기 성좌명 성변기록의 중국사 동일성 비교
Ⅳ. 신라통일기 동일성 성좌명 성변기록
Ⅴ. 신라통일기 비대응 독립성 성좌명 성변기록
Ⅵ. 「신라본기」 성좌명 성변기록(31건)의 독자성과 첨성대의 재평가 문제
Ⅶ. 「신라본기」 비성좌명 성변기록(69건) 검토
Ⅷ. 「신라본기」 천변기록 전체(100건)의 분류 종합과 일람표 작성
Ⅸ. 『삼국사기』 「삼국본기」의 혜성 기록과 핼리혜성 문제
Ⅹ. 『삼국사기』 「삼국본기」의 태백주현 고찰 Ⅺ.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정을 부정한다
- 『해심밀경소』 십지계위론에 나타나는 고대 동아시아 유식사상의 융섭적 전통
- 신라 애장왕대 해인사 창건과 왕실세력의 동향
- 5세기 말~6세기 전반 百濟의 對新羅 관계와 변화 양상
- 신라 중고기 병부의 人事權 掌握과 그 영향
- 한국 고대 부체제의 형성과정과 운영방식 재검토
- 사비시대 백제의 도교
- 아차산 일대 고구려 보루의 구조에 대한 재검토
- 新羅 嘉俳의 정치성
- 고구려·백제의 遼河 유역 진출과 對中 交易
- 『三國史記』 高句麗本紀에 보이는 修辭的 표현과 사료 구성
-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조영가계와 피장자
-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별자리목록과 천문성변기록 분류 연구
- 나당전쟁의 개전 시점과 주체에 대한 재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