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新羅 嘉俳의 정치성
이용수 9
- 영문명
- Politics of Gabae(嘉俳) in Silla: Reproducing Hierarchy and Gender Role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백동인(Dong-in Baek)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32집, 11~4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新羅에서 가장 중요한 명절인 嘉俳의 출현 배경을 새로이 해석하고, 가배에 담긴 의미와 그 시대적 변천을 살핀 글이다. 『三國史記』에 의하면, 儒理尼師今 9년에 6部의 이름을 바꾸고, 官等을 설치하고, 가배를 시작했다고 한다. 사료를 있는 그대로 믿기는 어려우나, 가배가 정치·행정 개혁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가늠할 수 있다. 가배는 村에서 발생한 공동 노동을 왕녀가 감독하게 함으로써 국가적인 의례로 개조한 것이다. 왕녀는 妃가 사제 역할을 하거나 권농 활동을 하듯이, 자신이 맡은 구역에서 길쌈을 감독하고, 가배 제사를 주도했다. 그 결과, 왕녀와 6부 토착의 유력자 여성 사이에 공고한 위계질서가 구축됐으리라 보인다. 왕녀가 담당할 ‘구역 설정’과 비-왕녀-6부 여성 사이 ‘위계 분화’는 각각 6부 행정, 관등과 통하는 측면이 보인다. 신라에서 지방 통치 및 관등 제도의 기원이 의례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당시에 남성이 주도하는 활동에서도 비슷한 변화가 발생했으리라 추측되며, 이런 조치가 훗날 관등 제도의 단초가 되었을 것이다.
길쌈놀이에 참여하는 여성 외의 신라인들도 각자의 방식으로 가배를 쇠었다. 특히 관리 남성은 왕 앞에서 활을 쏘고, 말과 布를 상으로 받았다. 길쌈놀이와 활쏘기는 각각 여성과 남성만을 위한 축제였고, 모두 왕실이 개입하였다. 따라서 두 축제는 신라 사회가 여성과 남성에게 주문한 질서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신라는 여성에겐 농업·수공업 생산을 통한 경제적 기여를, 남성에겐 군사적 성취를 요구했다. 여성의 성과는 사회로부터 보상을 받지 않았으나, 남성은 왕으로부터 능력과 성취에 따른 상을 얻었다. 三國 사이 끊임없는 전쟁이 여성에게는 가정에서 이름 없는 생산자로 남도록, 남성에게는 국가를 위해 싸우도록 부추긴 결과로 보인다. 통일 이후에는 가배에 새로운 기억이 덧씌워졌고, 가배의 유래가 高句麗에게 거둔 승리라고 인식하는 신라인도 있었다. 왕실의 정치적 의도 아래 시작된 가배였지만, 그 내용과 의미가 계속 변화하고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newly interpret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Gabae, the most important holiday in Silla, and examined the meaning of Gabae and its periodic changes. According to Samguksagi, King Yu-ri(儒理尼師今) changed the name of six-bu(部), instituted a official rank system, and made Gabae in the ninth year of his reign. It is difficult to believe the records as they are, but we can judge that Gabae is related to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reform. The joint labor in Saro six-chon(村) was converted into Gabae, a national rite overseen by princesses. Princesses supervised weaving and led the Gabae rite, just as queens acted as priests or encouraged farming. As a result, a strong hierarchy may have been established between princesses and powerful women of six-bu. ‘The setting up of the area’ for the princesses and the ‘separation of hierarchy’ between queen, princesses, and six-bu women have aspects that connect with the administration of bu and the official rank, respectively. The origin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official rank system in Silla was ritual. Similar changes were believed to have occurred in male-dominated activities at the time, which later led to the creation of the official rank system.
Other than women participating in the weaving match, Silla people also celebrated Gabae in their own way. In particular, male bureaucrats shot bows in front of king and won prizes for horses and textiles. The weaving match and archery were festivals only for women and men, respectively, and all involved the intentions of king. Therefore, the two festivals reflect the order the Silla Dynasty demanded for women and men. Silla called for women to make economic contributions through farming and handicraft, and men to win the war. Women’s achievements were not rewarded by society, but men were rewarded by king for their ability and achievement. This is because the constant war between the three kingdoms encouraged women to remain nameless producers at home and men to fight for their country. After unification, new memories were laid over on Gabae, and some Silla people recognized the origin of Gabae as a victory for Goguryeo. Although Gabae began under the king’s political intentions, we can see that its content and meaning continued to change and expand.
목차
Ⅰ. 머리말
Ⅱ. 儒理尼師今代정치 개혁과 嘉俳
Ⅲ. 嘉俳와 지배 질서의 재생산
Ⅳ.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정을 부정한다
- 『해심밀경소』 십지계위론에 나타나는 고대 동아시아 유식사상의 융섭적 전통
- 신라 애장왕대 해인사 창건과 왕실세력의 동향
- 5세기 말~6세기 전반 百濟의 對新羅 관계와 변화 양상
- 신라 중고기 병부의 人事權 掌握과 그 영향
- 한국 고대 부체제의 형성과정과 운영방식 재검토
- 사비시대 백제의 도교
- 아차산 일대 고구려 보루의 구조에 대한 재검토
- 新羅 嘉俳의 정치성
- 고구려·백제의 遼河 유역 진출과 對中 交易
- 『三國史記』 高句麗本紀에 보이는 修辭的 표현과 사료 구성
-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조영가계와 피장자
-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별자리목록과 천문성변기록 분류 연구
- 나당전쟁의 개전 시점과 주체에 대한 재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