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비시대 백제의 도교
이용수 28
- 영문명
- Taoism of Baekje in Sabi Period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김수태(Soo-ta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32집, 223~25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비로 천도한 직후 백제의 도교는 국왕에게 사후세계관으로 반영되었다. 국왕의 무덤들에서 도교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후손들은 국왕이 죽어서 신선이 되기를 간절하게 바랐던 것이다. 이와 같이 사후세계관으로 중요한 비중을 가진 도교는 백제의 현실 정치나 사회에서 상당한 의미를 나타내었다. 국왕이 사후세계가 아니라, 현실세계에서도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것으로 그 방향을 전환하였기 때문이다. 이제 국왕은 살아서 신선이 되어 불로장생하겠다는 것이었다. 이는 무왕대에 들어와서 국왕이 도교를 바탕으로 궁남지와 망해루를 만들면서 왕권강화를 추구하면서, 동시에 자신이 신선이 되어 불로장생하기를 바랐던 사실에서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백제의 귀족과 도교의 상호관계는 자세히 파악하기가 힘들다. 이 경우 좌평신분의 귀족들에게는 국왕과 마찬가지로 현실세계에서 불로장생을 추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보다는 이들 역시 신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교를 바탕으로 현실에서 은거하여 편안함을 얻는 데에 깊은 관심을 가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사실은 왕도인 부여에 살고 있던 귀족들이 원림을 만들거나, 아니면 좌평출신의 사택지적이 정치적으로 몰락하면서 부여를 벗어나서 다른 곳으로 은거해가는 현상에서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백제사회에 불교의 법화사상이 유행하면서 귀족들에게 더욱 확대되어 가는 추세를 보여주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영문 초록
After moving the capital to Sabi, Baekje’s Taoism influenced the king’s world view about the afterlife. The living descendants sincerely hoped that the dead king would become a Sin-sun, a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However, the king changed his direction to pursue the eternal youth and immortality during his lifetime, not in the afterlife. The king desired to obtain the eternal life by becoming Sin-sun while still living. It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king Mu, who built a pond on the south side of the royal palace and built a pavilion facing the sea, sought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through Taoism and hoped to have the eternal youth and immortality at the same tim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interrelation between Baekje’s Taoism and its aristocracy. The aristocrats of the Jwapyeong class seem to have pursued the eternal youth and immortality as well as the king.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ey would have been more interested in withdrawing from the reality and achieving the inner peace as in the case of Silla. This is shown from the fact that the nobles who lived in the capital city of Buyeo made a garden with a pond, and the case of Sataek-Jijeok, who was politically ruined, removing himself from Buyeo and retreating elsewhere. This trend would have been escalated as the Thoughts of the Lotus Sutra of Buddhism gained its fame in the Baekje society.
목차
Ⅰ. 머리말
Ⅱ. 유·불·도교의 관계
Ⅲ. 국왕과 도교
Ⅳ. 귀족과 도교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정을 부정한다
- 『해심밀경소』 십지계위론에 나타나는 고대 동아시아 유식사상의 융섭적 전통
- 신라 애장왕대 해인사 창건과 왕실세력의 동향
- 5세기 말~6세기 전반 百濟의 對新羅 관계와 변화 양상
- 신라 중고기 병부의 人事權 掌握과 그 영향
- 한국 고대 부체제의 형성과정과 운영방식 재검토
- 사비시대 백제의 도교
- 아차산 일대 고구려 보루의 구조에 대한 재검토
- 新羅 嘉俳의 정치성
- 고구려·백제의 遼河 유역 진출과 對中 交易
- 『三國史記』 高句麗本紀에 보이는 修辭的 표현과 사료 구성
-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조영가계와 피장자
-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별자리목록과 천문성변기록 분류 연구
- 나당전쟁의 개전 시점과 주체에 대한 재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