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라 중고기 병부의 人事權 掌握과 그 영향
이용수 14
- 영문명
- Silla Military Department's Seizing of the Personnel Authority and Its Implication in Middle Period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정덕기(Duk-gi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32집, 179~222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삼국사기』, 직관 上에 쓴 상당위의 간접서술방식은 대개 병부 관직을 최종기준으로 활용하였다. 간접서술방식은 신라의 전승을 직서한 것이며, 관청의 업무 상 계통관계나 모범이 되는 조직을 반영해 기준관직으로 쓴 것이다. 이것은 중대 신라가 병부 중심의 행정체계를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중대 병부 중심 행정체계의 원인은 중고기 병부의 인사권 장악과 장기화에 있다. 신라 중대에 인사권을 행사하는 주무관청은 武選權을 관장하는 병부·文選權을 관장하는 위화부뿐이다. 上大等·執事部 등이 인사권에 개입한 사례도 있지만, 해당 사례는 인사권의 최종심의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중고기 위화부는 본연의 기능인 문선권을 행사하기 어려웠다. 병부는 무선권을 관할하는 관청이었고, 중고기라는 시대적 배경은 ‘武·文 兼備’·‘出將入相’이 가능한 인재를 요구하였다. 이 상황에서 화랑이 인재보급의 공적 장치로 성립하자, 중고기 병부가 인사권 일체를 장악했다고 이해된다.
중고기 위화부는 581년 병부의 보조관청·병부 업무의 사전 단계를 처리하는 관청으로 성립하였고, 병부 위주의 인사행정절차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중고기 병부가 인사권을 장악한 164년 동안은 신라 중앙행정제도의 재편기간이었다. 중대 병부 중심 행정체계는 중고기 병부가 인사권을 장기적으로 장악한 상황의 유제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Among forty-four offices, those based on Byungbu are frequently observed in Jikwan Sang of Samguksagi. An indirect way of history-writing for Sandangwi gives us the salient example of such observation. This indirect narrative is developed from Sillla tradition in a way that office is organized with a certain principle: either setting up with the genealogical relationship or showcasing an exemplary office. This principle-based office system designates that Silla, by the middle period, has successfully established the centralized administration.
This paper explored this making of Silla administrative system through Byungbu's authority on personnel affairs and attemp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further understanding the general mechanism for centralized government that Byungbu-centric office system has galvanized.
At first, Byungbu possessed control over civil officer. On the other hand, Uihwabu had authority over military officer. However, the latter in the Middle period was late in organizing its office system so that it had certain limitations to fully exercise its authority over human resources. In addition, with the advent of Hwarang system which came to meet the Zeitgeist of the period in that the capacity for military and civil officers should be cultivated simultaneously, the traditional dichotomy was largely erased and thus, Byungbu took the absolute control over personnel affairs.
Byungbu enjoyed its limitless power over personnel matters for 164 years. It was clearly a unique period in that Silla government gradually became centralized.
목차
Ⅰ. 머리말
Ⅱ. 중대 중앙행정체계와 병부 조직의 관계
Ⅲ. 중고기 兵部의 人事權掌握과 長期化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정을 부정한다
- 『해심밀경소』 십지계위론에 나타나는 고대 동아시아 유식사상의 융섭적 전통
- 신라 애장왕대 해인사 창건과 왕실세력의 동향
- 5세기 말~6세기 전반 百濟의 對新羅 관계와 변화 양상
- 신라 중고기 병부의 人事權 掌握과 그 영향
- 한국 고대 부체제의 형성과정과 운영방식 재검토
- 사비시대 백제의 도교
- 아차산 일대 고구려 보루의 구조에 대한 재검토
- 新羅 嘉俳의 정치성
- 고구려·백제의 遼河 유역 진출과 對中 交易
- 『三國史記』 高句麗本紀에 보이는 修辭的 표현과 사료 구성
-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조영가계와 피장자
-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별자리목록과 천문성변기록 분류 연구
- 나당전쟁의 개전 시점과 주체에 대한 재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