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7세기 신라 帶金具의 변천과 그 계기
이용수 33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nge Process and Causes of Silla’s Belt Ornaments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이한상(Han-sa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42집, 649~67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6세기 전반의 늦은 시점이 되면 5세기 이래의 삼엽투조대금구가 신라 무덤에서 사라지고 새로이 누암리형 대금구가 등장한다. 이 대금구는 신라의 전통적 대금구에 백제적 요소가 더해져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7세기 초가 되면 방형 과판이 출현하고 여러 부품에 문양이 시문된다. 그것은 北周~隋 대금구의 특징인 바, 그것으로부터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다.
7세기 전반의 늦은 시점이 되면 7세기 초 대금구와는 차이가 큰 황룡사형 대금구가 출현한다. 부품의 형태, 착장방식, 문양 구성 및 표현기법 등이 판이하다. 이는 수 대금구와 유사한 면모를 보이지만, 차이 또한 현저하므로 신라인들이 창안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대금구는 신라가 649년 당식 의관제를 전면적으로 수용하는 시점에 이르면 제작이 종료된다. 이후 신라에서는 당식 대금구만 제작된다.
이처럼 6~7세기 신라의 대금구는 여러 차례에 걸쳐 변화하였는데, 그러한 변화에는 주변국 대금구로부터의 영향이 개재된 것으로 보인다. 신라 대금구가 이처럼 다이내믹하게 변천하였음에 비하여 백제의 대금구는 사비천도 후 멸망기까지 큰 변화 없이 하나의 유형만 제작되는 등 신라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After the 5th century, Silla had a culture of attaching metal ornaments to its belt. In the beginning, palmette patterns were expressed, but after the 6th century, this patterns gradually disappeared. Belt ornaments of this period are classified as Nuamri-type, and metal ornaments attached to the belt are heart-shaped. This belt ornaments are created by adding Baekje elements to Silla’s traditional design. This type changes in the early 7th century. The appearance of the part attached to the belt changes to a square shape. It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Northern Dynasties of China and the Sui Dynasty.
And in the late stage of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a new type that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Nuamri-type appears. It was named the Hwangnyongsa-type, and various patterns such as human faces, birds, flowers, and coins are expressed in this belt ornaments. It seems to have been created by Silla craftsmen by accepting the influence of the Sui Dynasty’s belt.
In Silla, the Hwangnyongsa-type belt ornaments ends production after 649 AD. At that point, Silla fully introduced the Chinese Tang Dynasty’s official uniform system, and in the process, the Tang-style replaces the Hwangnyongsa-type.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Silla’s belt ornaments changed several times because of their influence from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Baekje, Northern China, Sui and Tang. This point is different from the case of adjacent Baekje. In the case of Baekje, the appearance of belt ornaments did not change for a long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樓岩里型 帶金具
Ⅲ. 皇龍寺型과 唐式 帶金具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백제 웅진시기 한강유역 의미
- 「신라촌락문서」의 書風
- 충주 고구려비의 새 판독과 연대
- 6~7세기 신라 帶金具의 변천과 그 계기
- 신라 중대 한산주 2정의 설치와 그 의미
- 準王系 韓王에서 목지국 辰王으로의 세력 교체 과정
- 경주 栗洞 磨崖 涅槃像 명문과 9세기 신라 사회
- 고구려 광개토왕대의 임진강·한강 유역 진출과 남방 접경
- 千手觀音信仰의 新羅 유입 時期 再考
- 唐 憲宗의 淮西 討伐과 平盧節度使 李師道
- 신라촌락문서의 서원경과 촌락의 위치
- 「신라촌락문서」의 기재 내용과 수취제도
- 「新羅村落文書」의 작성연대에 관한 종합적 고찰
- 「신라촌락문서」의 연령구분과 촌락사회
- 高麗 건국기 太祖 王建의 禪僧 결연과 그 목적
- 신라 진흥왕대 新州 설치와 그 목적
- 7세기 중엽 국제정세의 변화와 백제 의자왕대 한강유역 공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