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準王系 韓王에서 목지국 辰王으로의 세력 교체 과정
이용수 25
- 영문명
-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ower from Han’s King of King Jun’s Lineages to Jin’s Kingof Mokjiguk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김남중(Nam-j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42집, 561~604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準王系 韓王(韓王朝)과 목지국 辰王(辰王朝)의 교체 시기를 검토하였다. 고조선과 관련 있는 점토대토기 문화를 통해 한왕은 전북 서부 일대 세력이었음을 알 수 있다. 진왕이 다스린 목지국은 경기 서·남부, 충청, 전북 서부 일대에 영향력을 행사했던 국가로, 이 지역은 점토대토기 문화가 단절되고 타날문토기가 갑자기 등장한 곳이다. 점토대토기,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의 전환이 점진적으로 나타난 전남 일대는 신운신국과 관련된 곳이었다. 점토대토기에서 타날문토기로의 변화 양상에서 볼 때 한왕에서 진왕으로의 세력 교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점토대토기에서 타날문토기로의 급진적 전환 현상은 『삼국사기』에서 백제 온조왕이 고사부리성(전북 정읍)까지 강역을 넓힌 것과 관련해서 볼 수 있다. 이때의 군사 활동은 목지국 진왕 세력(백제국 포함)이 전북 서부를 중심으로 한 마한(本 마한)을 복속한 사건이었다. 인천, 광주(서울 강남 포함), 한강 서북부, 천안 일대 세력이 하나의 세력을 이루고 있으면서 준왕계 마한 세력을 복속한 것이다. 다만 진왕 세력은 서주 분봉제 형태로 연맹체를 이루었기 때문에 『삼국지』에 다수 국가가 언급되어 있다.
지황 연간(20~23)의 염사착과 호래 사건을 통해 진한(진국)이 한의 맹주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원시 2~4년(기원후 2~4) 진국이 일본 북구주 세력, 영남 동남 지역 세력과 함께 전한 長安에 가는 사행에 관여한 사건이 있었는데, 韓이 아닌 辰으로 알려졌다는 점에서 아직 준왕계 한왕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한왕에서 진왕으로의 세력 교체는 원시 2~4년에서 지황 연간 사이에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삼국사기』 온조왕 기사의 백제의 의한 마한 병합 시기(기원후 9)와 대략 일치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viewed the period of power change from han’s king of king jun’s lineages(han dynasty) to jin’s king in mokjiguk(jin dynasty). From the clay-band rim pottery culture related to ancient joseon, it can be seen that han’s king was a force in western jeollabukdo. The mokjiguk, ruled by jin’s king, was a country that exerted influence in western and southern gyeonggido, chungcheongdo, and western jeollabukdo, and this area was the place where the clay-band rim pottery culture disappeared and beating patterned pottery suddenly emerged. The area of jeollanamdo, where the conversion of clay-band rim pottery, hard plain pottery, and beating patterned pottery gradually appeared, was related to sinunsinguk. From the aspect of the change from clay-band rim pottery to beating patterned pottery, it can be seen that there was a change of power from han’s king to jin’s king.
The radical transition from clay-band rim pottery to beating patterned pottery can be seen in relation to he records of samguksagi that king onjo of baekje expanded his territory to gosaburi castle(jeollabukdo jeongeup). The military activity at this time was an incident in which the forces of jin’s king of mokji state(including baekje) subjugated mahan(orignal mahan) around the western part of jeollabukdo. The forces in incheon, gwangju (including gangnam, seoul), northwest of the han river, and cheonan formed a force and subjugated mahan of king jun’s lineages. However, since the jin’s king forces formed a federation in the form of a feudal system in xizhou, many countries are mentioned in samguksagi.
It can be seen that jinhan(jinguk) occupied the status of han’s leader through the yeomsachak and horae incident in dihuang annual(20-23). Meanwhile, there was an incident in which jinguk was involved in the dispatch of envoys to changan, china, along with the kitakyushu forces, japan and the forces of yeongnam’s southeastern region, in yuanshi 2-4(2-4), the fact that it was known as jin, not han, shows that han’s king of king jun’s lineages still existed.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the period of power transition from han’s king to jin’s king was between yuanshi 2-4 and dihuang annual. This is roughly consistent with the period(A.D. 9) of the annexation of mahan by baekje of king onjo of samguksagi.
목차
Ⅰ. 머리말
Ⅱ. 準王系 韓王과 목지국 辰王 세력
Ⅲ. 『삼국사기』 온조왕 조 馬韓 복속 기사의 성격
Ⅳ. 목지국 진왕 정권의 성립 시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백제 웅진시기 한강유역 의미
- 「신라촌락문서」의 書風
- 충주 고구려비의 새 판독과 연대
- 6~7세기 신라 帶金具의 변천과 그 계기
- 신라 중대 한산주 2정의 설치와 그 의미
- 準王系 韓王에서 목지국 辰王으로의 세력 교체 과정
- 경주 栗洞 磨崖 涅槃像 명문과 9세기 신라 사회
- 고구려 광개토왕대의 임진강·한강 유역 진출과 남방 접경
- 千手觀音信仰의 新羅 유입 時期 再考
- 唐 憲宗의 淮西 討伐과 平盧節度使 李師道
- 신라촌락문서의 서원경과 촌락의 위치
- 「신라촌락문서」의 기재 내용과 수취제도
- 「新羅村落文書」의 작성연대에 관한 종합적 고찰
- 「신라촌락문서」의 연령구분과 촌락사회
- 高麗 건국기 太祖 王建의 禪僧 결연과 그 목적
- 신라 진흥왕대 新州 설치와 그 목적
- 7세기 중엽 국제정세의 변화와 백제 의자왕대 한강유역 공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