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高麗 건국기 太祖 王建의 禪僧 결연과 그 목적
이용수 20
- 영문명
- King Taejo Wang Geon's Zen Mastery in the Early Goryeo Period and Its Purpose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김성배(Sung-ba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42집, 605~648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태조 왕건은 후삼국의 분열을 수습하고 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군주이다. 왕건은 즉위 이전부터 여러 무공을 세웠으며 이를 기반으로 왕위에 가까워질 수 있었다. 특히 서남해 지역은 왕건에게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되었다. 왕건을 따르는 선승들과 그들의 세력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사상계 세력과 관계를 맺은 왕건은 일개 무장에서 궁예 정권에서 큰 정치 세력으로 부상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왕건은 서남해 지역 확보와 선종 세력과의 제휴를 통하여 궁예를 위협하는 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이후 왕건은 점차 대권을 향해 영향력을 확대하였는데 이는 그가 서남해에서 인연을 맺은 선승들의 활약에 힘입은 바가 크다. 왕건은 왕즉불을 표방하던 궁예의 폭압적인 종교 정책의 대안으로 선종 세력을 대안으로 내놓았다. 그리고 이들을 통해 궁예 정권 하의 불교 세력을 장악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그의 즉위에 큰 역할을 하였다.
왕위에 즉위한 태조 왕건은 당면한 과제들을 해결해야 했으며 이는 불교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역시 자신과 관계를 맺은 선승과 함께 초기 불교 정책에 대한 입안을 설정하였으며 이는 후삼국기 고려의 선승 정책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이처럼 태조와 즉위 이전과 초반에 인연을 맺고 그를 도운 선승들은 혜종 시기에 ‘사무외대사’로 추승되었다. 사무외대사는 왕건의 불교 정책을 앞장서 도운 이들일 뿐만 아니라 당시 왕위에 즉위한 혜종의 정통성을 강화하는 명분으로도 작용하였다.
영문 초록
King Taejo Wang Geon was a monarch who overcame the divis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and achieved the feat of unification. Wang Geon established several martial arts even before his enthronement, and based on this, he was able to gradually get closer to the throne. In particular, the Southwest Sea region was an opportunity for Wang Geon to make a new leap forward. The monks who followed Wang Geon and their power were secured. Wang Geon, who had a relationship with the ideological forces, could no longer emerge as a great political force in the Gungye regime.
In this way, he grew into a force that threatened his monarch, Gungye, by securing the southwest sea area and partnering with Seonjong forces. Since then, Wang Geon has gradually expanded his influence toward the presidency, largely thanks to the activities of his predecessors in the southwest sea. Wang Geon proposed Seonjong as an alternative to Gungye's tyrannical religious policy, which advocated Wang Je-bul. And through these, he began to dominate the Buddhist forces under the Gungye regime, which played a major role in his ascension.
King Taejo Wang Geon, who ascended the throne, had to solve the challenges facing him, which was the same in the Buddhist community. He also established a plan for the early Buddhist policy along with Seonseung, who had a relationship with him, which greatly influenced the Seonseung policy of Goryeo during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In addition, the monks who helped King Taejo before and at the beginning of his enthronement were promoted to Ambassadors for Samue during the reign of King Hyejong. Ambassador Samue not only helped Wang Geon's Buddhist policy, but also served as a justification for strengthening the legitimacy of Hyejong, who ascended to the throne at that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왕건의 서남해 경락과 선승 결연 목적
Ⅲ. 철원 불교계 동향과 왕건의 사상계 영향력 확대
Ⅳ. 고려 개국초 태조의 선승책과 사무외대사 추승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백제 웅진시기 한강유역 의미
- 「신라촌락문서」의 書風
- 충주 고구려비의 새 판독과 연대
- 6~7세기 신라 帶金具의 변천과 그 계기
- 신라 중대 한산주 2정의 설치와 그 의미
- 準王系 韓王에서 목지국 辰王으로의 세력 교체 과정
- 경주 栗洞 磨崖 涅槃像 명문과 9세기 신라 사회
- 고구려 광개토왕대의 임진강·한강 유역 진출과 남방 접경
- 千手觀音信仰의 新羅 유입 時期 再考
- 唐 憲宗의 淮西 討伐과 平盧節度使 李師道
- 신라촌락문서의 서원경과 촌락의 위치
- 「신라촌락문서」의 기재 내용과 수취제도
- 「新羅村落文書」의 작성연대에 관한 종합적 고찰
- 「신라촌락문서」의 연령구분과 촌락사회
- 高麗 건국기 太祖 王建의 禪僧 결연과 그 목적
- 신라 진흥왕대 新州 설치와 그 목적
- 7세기 중엽 국제정세의 변화와 백제 의자왕대 한강유역 공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