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라촌락문서」의 기재 내용과 수취제도
이용수 38
- 영문명
- A Study on the Tax System of Silla through re-analysis of the Silla Village Register Document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홍승우(Sueng-woo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42집, 261~316쪽, 전체 5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9,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신라촌락문서의 기재 내용을 재검토하여 신라 수취제도의 구체적 내용에 접근하는 것이다.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신라 수취제도와 관련한 행정 과정에서 생산되어 사용되었던 성산산성목간과 팔거산성목간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신라촌락문서의 호구 관련 기재 내용을 재분석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신라촌락문서에서 수취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내용은 호구의 수와 변동에 대한 것이다. 신라의 수취는 기본적으로 호를 기준으로 이루어졌으나, 호에 속한 정에게 부과되고 정을 기준으로 수취에 대한 행정이 이루어졌다. 이는 지방 산성 출토 신라 목간 자료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신라촌락문서에 나오는 ‘법사’와 ‘여자’는 신라 지방 산성 목간에 나오는 ‘(왕)사’의 사례를 볼 때, 사적 예속인으로 보이며, 수취를 면제받았기에 문서에 기재되었다고 판단된다. 수취가 호를 기준으로 부과되고 정이 그것을 부담하였기 때문에, 그 정이 특정한 사유로 수취에서 면제되면 해당 호에 그 사실을 적시한 것이다.
신라촌락문서와 목간 자료를 종합해 볼 때, 신라는 군급의 거점 성 단위가 예하 성·촌에서 부역을 징발하여 일부는 사용하고 일부는 보관하고 있다가, 인적·물적 자원이 필요한 다른 지역의 거점 성으로 운반하는 수취 관련 행정제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신라촌락문서는 거점 성, 곧 군급에서 작성하였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ried to approach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Silla's tax system by reviewing the Silla Village Register Document. For this purpose, referring to the research results of the wooden tablets from Seongsan Mountain Fortress and Palgeo Mountain Fortress which produced and used in the administrative process related to the Silla's tax system, the contents of the descriptions related to the Family unit and Individual in the Silla village register document were re-analyz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In the Silla Village Register Documents,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regarding tax collection is about the number of families and people and their changes. The tax was basically imposed on the family unit, but the actual payment obligation was levied on an individual, an adult member of the family. The results of studies on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the Local Mountain Fortresses of Silla also support this conclusion.
The ‘BeopSa’ and ‘YeoJa’ in the Silla Village Register Document are presumed to be private subordinates when looking at the case of the ‘(Wang)Sa’ that appears in the wooden tablets from the Mountain Fortresses of the Silla region. It is believed that they were documented in this way because they were exempt from tax. This also shows that it was a system in which taxes were levied on family units and were in fact borne by the individual adults who were members of the uni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lla Village Register Document and the wooden tablets of Silla, it is estimated that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of Silla was as follows. The stronghold Mountain Fortress was a Gun-level local administrative unit, which requisitioned taxes and labor from the lower local administrative units. Some of the requisitions were used by themselves, and some were stored in warehouses. And then, if there was another stronghold Mountain Fortress that requires human or material resources, the stored resources were transported there so that they could be used.
Considering these conclusions, it can be said that the Silla Village Register Document was prepared by the Gun-level administrative unit.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촌락문서」의 호구 부분 구성과 신라 목간의 수취제도
Ⅲ. 法私와 余子, 부역 징발 단위
Ⅳ. 人에 대한 기재 내용의 특징과 수취
Ⅴ. 신라촌락문서의 작성 주체에 대하여-맺음말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백제 웅진시기 한강유역 의미
- 「신라촌락문서」의 書風
- 충주 고구려비의 새 판독과 연대
- 6~7세기 신라 帶金具의 변천과 그 계기
- 신라 중대 한산주 2정의 설치와 그 의미
- 準王系 韓王에서 목지국 辰王으로의 세력 교체 과정
- 경주 栗洞 磨崖 涅槃像 명문과 9세기 신라 사회
- 고구려 광개토왕대의 임진강·한강 유역 진출과 남방 접경
- 千手觀音信仰의 新羅 유입 時期 再考
- 唐 憲宗의 淮西 討伐과 平盧節度使 李師道
- 신라촌락문서의 서원경과 촌락의 위치
- 「신라촌락문서」의 기재 내용과 수취제도
- 「新羅村落文書」의 작성연대에 관한 종합적 고찰
- 「신라촌락문서」의 연령구분과 촌락사회
- 高麗 건국기 太祖 王建의 禪僧 결연과 그 목적
- 신라 진흥왕대 新州 설치와 그 목적
- 7세기 중엽 국제정세의 변화와 백제 의자왕대 한강유역 공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