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라촌락문서」의 연령구분과 촌락사회
이용수 22
- 영문명
- A Study on the Age Classification System of Silla Village Register and the Social Situation of the Villages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박남수(Nam-soo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42집, 351~414쪽, 전체 6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10,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필자는 지난해에 <「신라촌락문서」의 인구통계와 그 작성 시기>를 발표하여, 「신라촌락문서」의 원장은 818년, 그리고 추기는 819년에 작성되었음을 밝힌 바 있다. 본고는 당시에 미루어 놓았던 「신라촌락문서」의 6개 등급의 연령구분과 除公(母), 老公(母)의 문제를 신라 하대 禪師들의 行狀을 바탕으로 작성된 비문과 나주 복암리 목간(404호)의 除의 용법을 바탕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곧 除公(母)은 60세부터 69세로서 군역이나 요역이 면제되지만 田作으로 田租만을 바치는 존재이며, 老公(母)은 70세 이상을 지칭하였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동 문서의 薩下知村의 余子와 法私의 성격을, 『주례』 小司徒조의 ‘余子’의 용례, 그리고 나주 복암리(405호)의 ‘法戶’, 그리고 팔거산성 목간의 王私, 私의 용법으로부터, 6세기 전반의 王私, 私로 지칭되던 私屬人이 9세기 초반 「신라촌락문서」에 法私로 전승된 것으로 생각하였다. 아울러 ‘서원경-일명의 D촌’이란 행정체계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하여, 內視令과 省狀의 성격을 검토함으로써 이들 4개 촌락이 내성 관할의 왕실직속촌임을 밝혔다. 또한 본 촌락문서의 통계가 갑오년(814)부터 헌덕왕 11년(819)까지라는 점에 주목하여 각 촌락의 인구성장율과 인구증가율, 사회증가율, 남녀 인구 성비, 부양비율 등을 추출하여, 당시 서원경 주변 촌락사회에 일어난 사회변동과 동요가 홍수와 기근, 초적들의 발호에 있었음을 살폈다.
영문 초록
Last year, I published a research paper titled “A Study on the Demographics Recorded in Silla Village Register and the Year of Creation of the Documents” and revealed that the original record of the register was written in 818 and the additional record was attached in 819. This paper aimed to clarify the age classification of the six grades shown in Silla Village Register and the issues of Jegong(mo) and Rogong(mo) in relation to the epitaphs written based on the rhetoric shown in the records of Silla Zen masters’ lives and the use of ‘除 (Je)’ in the wooden tablet of Naju Bokamri No. 404. As a result, it was elucidated that Jegong (mo) referred to people between the ages of 60 to 69, who were exempted from military duties or public labor, but paid taxes as a crop harvested from dry field corm cultivation, and Rogong (mo) referred to people over 70 years of ag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Yeoja and Bupsa described in the Sahajichon section of the register were analyzed based on the examples of Yeoja shown in the Xiaositu chapter of Zhouli, of Bupho in the wooden tablet of Naju Bokamri No. 405, and of Wangsa and Sa in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Mt. Palgeo Fortress in Daegu.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Sasokin, which was referred to as Wangsa and Sa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was written as Bupsa in Silla Village Register in the early 9th century. Starting with the question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Seowonkyung-unidentified D community,’ it was revealed that these four villages were direct royal household villages under the jurisdiction of Naeseong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Naesiryong and Seongjang. In addition, by noting that the statistics of this register are from the gapin year (814) to the 11th year of King Heondeok (819), the population growth rate, the rate of increase in population, the rate of social increase, the gender ratio of men and women, and the support ratio of each village were extracted. Through this, it was figured that the social changes and disturbances that occurred in the village society around Seowongyeong at the time were caused by floods, famine, and the outbreak of bandits.
목차
Ⅰ. 머리말
Ⅱ. 연령구분과 除·老
Ⅲ. 孔烟의 余子와 法私
Ⅳ. 왕실 직속촌의 운영
Ⅴ. 헌덕왕대 촌락사회의 인구 변동과 동요
Ⅵ. 맺음말
키워드
연령구분
除公(母)
老公(母)
나주 복암리 목간
余子
法私
法戶
王私
팔거산성 목간
內視令
省狀
왕실 직속촌
촌락사회의 사회변동
the Age Classification System
Jegong(mo) and Rogong(mo)
the wooden tablet of Naju Bokamri
Yeoja
Bupsa
Wangsa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Mt. Palgeo Fortress
Naesiryong
Seongjang
royal household villages
the social changes in the village society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백제 웅진시기 한강유역 의미
- 「신라촌락문서」의 書風
- 충주 고구려비의 새 판독과 연대
- 6~7세기 신라 帶金具의 변천과 그 계기
- 신라 중대 한산주 2정의 설치와 그 의미
- 準王系 韓王에서 목지국 辰王으로의 세력 교체 과정
- 경주 栗洞 磨崖 涅槃像 명문과 9세기 신라 사회
- 고구려 광개토왕대의 임진강·한강 유역 진출과 남방 접경
- 千手觀音信仰의 新羅 유입 時期 再考
- 唐 憲宗의 淮西 討伐과 平盧節度使 李師道
- 신라촌락문서의 서원경과 촌락의 위치
- 「신라촌락문서」의 기재 내용과 수취제도
- 「新羅村落文書」의 작성연대에 관한 종합적 고찰
- 「신라촌락문서」의 연령구분과 촌락사회
- 高麗 건국기 太祖 王建의 禪僧 결연과 그 목적
- 신라 진흥왕대 新州 설치와 그 목적
- 7세기 중엽 국제정세의 변화와 백제 의자왕대 한강유역 공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