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呂圭亨 작 <春香傳> 譯註
이용수 101
- 영문명
-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Chunhyangjeon writtenby Yeo Gyu-hyeong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김수영(Kim, Soo-young) 송정우(Song, Jeongwoo) 함주희(Ham, Juhee) 邱瑞卿(Qui, Ruiqing)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第78輯, 289~398쪽, 전체 11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16,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세기 초에 여규형은 圓覺社의 위촉을 받아 한문 희곡 <春香傳>을 창작했다. 여규형 작 <춘향전>은 판소리 문학의 당대적 변화를 보여주는 독특한 텍스트로서 여러 인접 학문 분야에서 더 논의될 만한 점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이 작품 전체에 대한 번역은 이루어진 바 없다. 본고에서는 예비적으로 여규형 작 <춘향전>의 서지적 특징과 장르를 살피고, 전체 텍스트에 대한 標點・번역・주해를 수행했다.
영문 초록
In the early 20th century, Yeo Gyu-hyeong was commissioned by the Wongaksa(圓覺社) to create the drama Chunhyangjeon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Yeo Gyu-hyeong's Chunhyangjeon is a unique text that shows the contemporary changes in pansori literature and has points worthy of further discussion in several adjacent academic fields. Nonetheless, a complete translation of this work has not yet been done. Therefore this paper preliminarily examined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genre of Yeo Gyu-hyeong's Chunhyangjeon and performed punctuation, translation, and commentary on the entire text.
목차
1. 여규형 작 <春香傳>의 서지적 특징과 장르
2. 여규형 작 <春香傳> 譯註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기미통신사(1439)와 高得宗
- 「德谷師友淵源錄」에 나타난 회봉 문인의 현황과 분석
- 1980년대 무크문학과 무대 재현의 욕망 - 부산 무크지 『지평』과 『전망』에 수록된 희곡작품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