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河西 金麟厚와 鼓巖 梁子徵의 시적 소통과 그 의의

이용수 2

영문명
Poetic Communication Between Haseo Kim In-Hoo and Goam Yang Ja-Jing and The Meaning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박명희(Park, Myoung Hui)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第78輯, 89~11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하서 김인후와 그 제자 고암 양자징의 시적 소통 양상과 그 의의를 구명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스승과 제자의 ‘소통’이라는 측면에서 작품 수와 무관하게 김인후와 양자징이 함께 지은 시와 차운시 및 증시 등에 주목하였다. 김인후와 양자징이 함께 지은 시로는 <점암연구> 2수가 있다. 그리고 <침부자가>는 김인후가 지은 작품인데, 이를 차운해 양자징이 <침부자가경차하서선생운>을 지었고, 이어 김인후가 양자징의 시에 차운해 <차증양생중명운> 3수를 지었다. <점암연구> 2수는 『하서전집』 권7에 수록된 <어암잡영> 8수 중 세 번째와 네 번째에 해당하는 작품을 말한다. 이 두 작품은 완성하기까지 김인후와 양자징이 함께 의기투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김인후가 쓴 시 서문에 “사위 양중명의 시를 바로 잡는다.[檃括]”라는 말이 있는 것으로 보아 시 창작 수련과 관련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김인후는 어느 날 물푸레나무를 소재 삼아 <침부자가>를 지었고, 양자징은 이 <침부자가> 시의 운을 빌려 <침부자가경차하서선생운>을 지었으며, 또 다시 김인후는 양자징의 시에 차운해 <차증양생중명운> 3수를 지었다. 우선 김인후는 <침부자가>를 통해 비록 하찮은 물건이라 말할 수 있는 물푸레나무 등걸을 아주 귀한 물건처럼 생각하며, 큰 위안을 받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자신과 동일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양자징은 <침부자가경차하서선생운>에서 김인후와 달리 진나라 역사를 개입시켜 등걸의 이력에 초점을 맞추었다. 김인후는 <차증양생중명운> 3수에서 유학이 번성하기를 바라는 마음과 함께 독서의 중요성 등을 언급하였다. 결국 스승 김인후는 <차증양생중명운> 3수를 통해 제자 양자징이 유학자로서 지녀야 할 자세가 무엇인가를 알려주었다. 마지막으로 시의 성격을 규정했는데, <점암연구> 2수는 수련시라 하였고, 김인후가 지은 <침부자가>, 양자징이 지은 <침부자가경차하서선생운>, 김인후가 또 지은 <차증양생중명운> 3수는 차운시를 빌린 영물시이요, 영사시이며, 도학시라 그 성격을 규정지었다. 이어 양자징의 시 창작 능력의 제고와 16세기의 학자 김인후가 제자들에게 어떤 학문적 내용을 전달했는지를 알 수 있는 자료적 의의를 지녔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etic communication between Kim In-Hoo and his student Yang Ja-Jing and the meaning. They wrote two poems of together. Kim In-Hoo wrote and Yang Ja-Jing borrowed it to write . Then Kim In-Hoo borrowed Yang’s poem again to write three poems of . Therefore, as it was suggested that Kim In-Hoo and Yang Ja-jing communicated each other through writing poems, this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d their communication in each aspect. The two poems of were the 3rd and the 4th of the eight poems of recorded in vol. 7 of 『Haseo Collection』 . Kim In-Hoo sincerely modified the poems written by Yang Ja-Jing. He wrote with an ash tree stump he gained one day as a material for poetry and Yang Ja-Jing borrowed the rhyme of to write and then Kim In-Hoo borrowed Kim’s rhyme to write three poems of . , , and were made of 26 verses, which have distinctive contents each other. Kim In-Hoo considered the ash tree stump which can be said to be an insignificant thing as very valuable in and he seemed to take much consolation from it. He was also identified with it himself. Yang Ja Jing gave a focus on the history of the stump by introducing the history of the Qin Dynasty in unlike his teacher. Kim In-Hoo mentioned the importance of reading along with the mind of desire for prosperity of Confucianism in . Finally, this study defined the nature of the poetry as follows: the two poems of were training poetry and the three poems of by Kim In-Hoo, by Yang Ja-Jing and by Kim In-Hoo were odes on objects, historical poetry and Confucian poetry through borrowing rhymes.

목차

1. 머리말
2. 김인후와 양자징의 시적 소통 양상
3. 소통 시의 성격과 의의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명희(Park, Myoung Hui). (2024).河西 金麟厚와 鼓巖 梁子徵의 시적 소통과 그 의의. 대동한문학, (), 89-118

MLA

박명희(Park, Myoung Hui). "河西 金麟厚와 鼓巖 梁子徵의 시적 소통과 그 의의." 대동한문학, (2024): 89-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