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감마카메라 영상에서 분해능 향상을 위한 Xact-bone의 유용성 평가
이용수 2
- 영문명
- Usefulness of Xact-bone for the Resolution Advancement of Gamma Camera Image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김종필(Jong Pil Kim) 윤석환(Seok Hwan Yoon) 임정진(Jung Jin Lim) 우재룡(Jae Ryong Woo)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15 No.2, 30~35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Boramae Hospital are currently using Wide beam reconstruction (WBR: UltraSPECT, Israel) to improve the resolution. The Xact-bone belongs to the WBR. It has been reported that Xact-bone helps us to improve image resolution and contrast. This study will be evaluated clinical usefulness of Xact-bone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The usefulness evaluation of Xact-bone method was analyzed in resolution test and contrast ratio. The resolution test in Planar image were obtained from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by using capillary tube. And the contrast ratio was obtained from Bone and Soft tissue (B/S) ratio values that were acquired from bone scan study of 50 patients before and after using the Xact-bone method. We prepared the Triple Line Source Phantom, NEMA IEC Body Phantom and Standard Jaszczak Phantom to acquire the FWHM and Contrast Ratio values of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image. Subsequently we compared among the Filtered backprojection (FBP) , Orderd subset expectation maximization (OSEM) and Xact-Bone image. Results: The results of the planar Xact-bone data improved resolution about 20% by using capillary tube. In addition it was improved B/S ratio about 15%. When using Triple Line Source Phantom, SPECT Xact-bone data improved resolution for both FBP ,OSEM methods about 20% and 10%, respectively. Contrast ratio in each spheres has also been increased for both methods that using NEMA IEC body Phantom and Standard Jaszczak Phantom. Conclusion: When we were using Xact-bone method, we could see to improve the resolution and Contrast ratio as compared to do not use the Xact-bone method. Accordingly, by using WBR's Xact-bone method is expected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However, when introducing new software, it is needed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spital protocol and clinical application.
목차
서론
실험 재료 및 방법
결과
결론 및 고찰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의 직무별 개인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 PET/CT 검사에서 시간 입력 차이에 따른 표준화섭취계수(SUV) 변화에 대한 고찰
- ⁹⁹ᵐTc을 이용한 심근 관류 SPECT에서 Multiple Confocal SPECT System의 유용성
- Lymphoscintigraphy의 정량분석 시 오류 요인에 관한 평가
- 핵의학과 혈액검사실의 안전 관리 활동에 대한 고찰
- PET/CT 영상 획득 시 사전설정법 차이에 따른 영상 질 평가
- Brain Perfusion SPECT에서 Image Registration의 유용성
- 저선량에서의 TrueX 재구성 방법에 의한 유용성 평가
- Brain Perfusion SPECT(Diamox) 검사의 수행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 PET/CT 장비 별 mini PACS에서 측정한 표준섭취계수(SUV)의 유용성 평가
- 기체크로마토그래프법을 이용한 [F-18]FDG의 잔류용매 분석
- 감마카메라 영상에서 분해능 향상을 위한 Xact-bone의 유용성 평가
- PET/CT 검사에서 영상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적정한 ¹⁸F-FDG 투여량의 평가
- 팬텀을 이용한 소아 PET/CT 검사 시 감쇄보정 CT 선량과 영상 평가
- QPS 프로그램에서 Myocardial extract 적용에 따른 임상적 유용성 평가
- PET/CT 검사에서 확대된 표시시야가 표준섭취계수에 미치는 영향 평가
- 방사면역측정법과 화학발광면역측정법간의 숙련도 비교평가
- 핵의학 체외검사의 진료재료비용 절감 방안
- 9-(4-[¹⁸F] Fluoro-3-hydroxymethylbutyl) guanine 합성의 자동화와 최적화에 관한 연구
-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작업화 및 작업복의 방사선 오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RI 등 사용 허가 대학의 정기 검사 수검 사례: 방사선학과를 대상으로
- 핵의학 갑상샘 팬텀 영상에서 보간법이 초고분해능 ResNet 모델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방사성동위원소(RI) 폐기물 내 Pb-214, Bi-214 화학 분리를 통한 핵종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