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F-18-FPCIP 뇌 영상에서 True-X 재구성 기법을 기반으로 했을 때의 Iteration과 Subset의 영향
이용수 2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Iteration and Subset on True X Method in F-18-FPCIT Brain Imaging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최재민(Jae Min Choi) 김경식(Kyung Sik Kim) 남궁창경(Chang Kyeong Namgung) 남기표(Ki Pyo Nam) 임기천(Ki Cheon Im)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14 No.1, 122~126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F-18-FPCIT that shows strong familiarity with DAT located at a neural terminal site offers diagnostic information about DAT density state in the region of the striatum especially Parkinson’s disease. In this study, we altered the iteration and subset and measured SUV±SD and Contrasts from phantom images which set up to specific iteration and subset. So, we are going to suggest the appropriate range of the iteration and subset.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with 10 normal volunteers who don’t have any history of Parkinson’s disease or cerebral disease and Flangeless Esser PET Phantom from Data Spectrum Corporation. 5.3±0.2 mCi of F-18-FPCIT was injected to the normal group and PET Phantom was assembled by ACR PET Phantom Instructions and it’s actual ratio between hot spheres and background was 2.35 to 1. Brain and Phantom images were acquired after 3 hours from the time of the injection and images were acquired for ten minutes. Basically, SIEMENS Bio graph 40 True-point was used and True-X method was applied for image reconstruction method. The iteration and Subset were set to 2 iterations, 8 subsets, 3 iterations, 16 subsets, 6 iterations, 16 subsets, 8 iterations, 16 subsets and 8 iterations, 21 subsets respectively. To measure SUVs on the brain images, ROIs were drawn on the right Putamen. Also, Coefficient of variance (CV) was calculated to indicate the uniformity at each iteration and subset combinations. On the phantom study, we measured the actual ratio between hot spheres and back ground at each combinations. Same size’s ROIs were drawn on the same slide and location. Results: Mean SUVs were 10.60, 12.83, 13.87, 13.98 and 13.5 at each combination. The range of fluctuation by sets were 22.36%, 10.34%, 1.1%, and 4.8% respectively. The range of fluctuation of mean SUV was lowest between 6 iterations 16 subsets and 8 iterations 16 subsets. CV showed 9.07%, 11.46%, 13.56%, 14.91% and 19.47%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he numerical value of the iteration and subset gets higher the image’s uniformity gets worse. The range of fluctuation of CV by sets were 2.39, 2.1, 1.35, and 4.56. The range of fluctuation of uniformity was lowest between 6 iterations, 16 subsets and 8 iterations, 16 subsets. In the contrast test, it showed 1.92:1, 2.12:1, 2.10:1, 2.13:1 and 2.11:1 at each iteration and subset combinations. A Setting of 8 iterations and 16 subsets reappeared most close ratio between hot spheres and background. Conclusion: Findings on this study, SUVs and uniformity might be calculated differently caused by variable reconstruction parameters like filter or FWHM. Mean SUV and uniformity showed the lowest range of fluctuation at 6 iterations 16 subsets and 8 iterations 16 subsets. Also, 8 iterations 16 subsets showed the nearest hot sphere to background ratio compared with others. But it can not be concluded that only 6 iterations 16 subsets and 8 iterations 16 subsets can make right images for the clinical diagnosis. There might be more factors that can make better images. For more exact clinical diagnosis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DAT density in the region of striatum we need to secure healthy people’s quantitative values.
목차
PURPOSE
Materials and Method
Image Analysis
Results
CONCLUSION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ET/CT 검사에서 호흡에 따른 인공산물을 줄이기 위한 Average CT의 유용성
- 동적 영상 획득 방식을 이용한 정적 영상의 움직임 보정
- 핵의학과 Video Display Terminals Syndrome 유해요인 조사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⁹⁹ᵐTc-DTPA를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 측정에서 주사 전 선량계수치의 평가
- F-18-FPCIP 뇌 영상에서 True-X 재구성 기법을 기반으로 했을 때의 Iteration과 Subset의 영향
- 한국인 일반인의 혈청 25-Hydroxy Vitamin D₃의 분석
- 이중 에너지 엑스레이 흡수기의 가동 시간에 따른 골밀도 값의 평가
- ²⁰¹Tl을 이용한 레이노 검사에서 동적 Composite 영상의 유용성
- PET/CT 2D와 3D 영상 획득에서 방사능 집적에 따른 방사능 농도의 평가
- 산란보정 전, 후의 SPECT 대조도 및 분해능 평가
- 폐와 심근에서 전이성 석회화가 발견된 골 스캔
- Fusion &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3D 재구성 영상에서 Region Cut Subtraction의 유용성
- 반사성교감신경 이영양증후군 환자의 삼상 골 스캔 시 Half Body 혈액 풀 영상의 적용
- FDG 사용 시 Dose Calibrator에 따른 SUV에 미치는 영향
- 통계적 분석을 통한 Insulin의 정상 참고치 설정
- FDG 합성 후 질소가스를 이용한 튜빙의 잔류 ¹⁸F-FDG 최소화를 위한 방법의 유용성
- PET/CT 3차원 영상 획득에서 부분용적효과 감소를 위한 재구성법의 최적화
- Breast Specific Gamma Imaging 장비의 성능평가
- Phytate를 이용한 감시림프절 검사 시 Filter의 유용성 평가
- 전신 뼈 스캔 후 경과 시간 차이에 따른 ²⁰¹Tl 심근관류 SPECT 영상의 영향 평가
- 정적 영상에서 Noise Reduction Software의 이해와 적용
- 감마영상과 실사영상의 Fusion
- 전신 뼈 검사에서 Wide Beam Reconstruction 기법의 유용성
- 서울아산병원의 적혈구 표지 방법에서 교반 시간 차이에 따른 표지 효율의 분석
- 저칼슘혈증 예측지표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검사반응시간에 따른 유용성
-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 병실의 최대치 산출
- ⁹⁹ᵐTc-DMSA 신장 검사에서 ROI 설정 방법에 따른 정량분석 차이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55Fe와 59/63Ni의 화학분리 중 목적원소 및 방해원소 거동 특성 연구
- 진단참고 준위를 적용한 선량 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변화 평가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