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신 뼈 스캔 후 경과 시간 차이에 따른 ²⁰¹Tl 심근관류 SPECT 영상의 영향 평가
이용수 2
- 영문명
- The Influence Evaluation of ²⁰¹Tl Myocardial Perfusion SPECT Image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Difference after the Whole Body Bone Scan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김동석(Dong Seok Kim) 유희재(Hee Jae Yoo) 류재광(Jae Kwang Ryu) 유재숙(Jae Sook Yoo)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14 No.1, 67~7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In Asan Medical Center we perform myocardial perfusion SPECT to evaluate cardiac event risk level for non-cardiac surgery patients. In case of patients with cancer, we check tumor metastasis using whole body bone scan and whole body PET scan and then perform myocardial perfusion SPECT to reduce unnecessary exam. In case of short term in patients, we perform ²⁰¹Tl myocardial perfusion SPECT after whole body bone scan a minimum 16 hours in order to reduce hospitalization period but it is still the actual condition in which the evaluation about the affect of the crosstalk contamination due to the each other dissimilar isotope administration doesn’t properly realize. So in our experiments, we try to evaluate crosstalk contamination influence on ²⁰¹Tl myocardial perfusion SPECT using anthropomorphic torso phantom and patient’s data.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9 August to September, we analyzed 87 patients with ²⁰¹Tl myocardial perfusion SPECT. According to ²⁰¹Tl myocardial perfusion SPECT yesterday whole body bone scan possibility of carrying out, a patient was classified. The image data are obtained by using the dual energy window in ²⁰¹Tl myocardial perfusion SPECT. We analyzed ²⁰¹Tl and ⁹⁹ᵐTc counts ratio in each patients groups obtained image data. We utilized anthropomorphic torso phantom in our experiment and administrated ²⁰¹Tl 14.8 MBq (0.4 mCi) at myocardium and ⁹⁹ᵐTc 44.4 MBq (1.2 mCi) at extracardiac region. We obtained image by ²⁰¹Tl myocardial perfusion SPECT without gate method application and analyzed spatial resolution using Xeleris ver 2.0551. Results: In case of ²⁰¹Tl window and the counts rate comparison result yesterday whole body bone scan of being counted in ⁹⁹ᵐTc window, the difference in which a rate to 24 hours exponential-functionally notes in 1:0.114 with Ventri (GE Healthcare, Wisconsin, USA), 1:0.249 after the bone tracer injection in 12 hours in 1:0.411 with 1:0.79 with Infinia (GE healthcare, Wisconsin, USA) according to a reduction a time-out was shown (Ventri p=0.001, Infinia p=0.001). Moreover, the rate of the case in which it doesn’t perform the whole body bone scan showed up as the average 1:0.067±0.6 of Ventri, and 1:0.063±0.7 of Infinia. According to the phantom after experiment spatial resolution measurement result, and an addition or no and time-out of ⁹⁹ᵐTc administrated, it doesn’t note any change of FWHM (p=0.134). Conclusion: Through the experiments using anthropomorphic torso phantom and patients data, we found that ²⁰¹Tl myocardium perfusion SPECT image later carried out after the bone tracer injection with 16 hours this confirmed that it doesn’t receive notable influence in spatial resolution by ⁹⁹ᵐTc. But this investigation is only aimed to image quality, so it needs more investigation in patient’s radiation dose and exam accuracy and precision. The exact guideline presentation about the exam interval should be made of the validation test which is exact and in which it is standardized about the affect of the crosstalk contamination according to the isotope use in which it is different later on.
목차
서론
실험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ET/CT 검사에서 호흡에 따른 인공산물을 줄이기 위한 Average CT의 유용성
- 동적 영상 획득 방식을 이용한 정적 영상의 움직임 보정
- 핵의학과 Video Display Terminals Syndrome 유해요인 조사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⁹⁹ᵐTc-DTPA를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 측정에서 주사 전 선량계수치의 평가
- F-18-FPCIP 뇌 영상에서 True-X 재구성 기법을 기반으로 했을 때의 Iteration과 Subset의 영향
- 한국인 일반인의 혈청 25-Hydroxy Vitamin D₃의 분석
- 이중 에너지 엑스레이 흡수기의 가동 시간에 따른 골밀도 값의 평가
- ²⁰¹Tl을 이용한 레이노 검사에서 동적 Composite 영상의 유용성
- PET/CT 2D와 3D 영상 획득에서 방사능 집적에 따른 방사능 농도의 평가
- 산란보정 전, 후의 SPECT 대조도 및 분해능 평가
- 폐와 심근에서 전이성 석회화가 발견된 골 스캔
- Fusion &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3D 재구성 영상에서 Region Cut Subtraction의 유용성
- 반사성교감신경 이영양증후군 환자의 삼상 골 스캔 시 Half Body 혈액 풀 영상의 적용
- FDG 사용 시 Dose Calibrator에 따른 SUV에 미치는 영향
- 통계적 분석을 통한 Insulin의 정상 참고치 설정
- FDG 합성 후 질소가스를 이용한 튜빙의 잔류 ¹⁸F-FDG 최소화를 위한 방법의 유용성
- PET/CT 3차원 영상 획득에서 부분용적효과 감소를 위한 재구성법의 최적화
- Breast Specific Gamma Imaging 장비의 성능평가
- Phytate를 이용한 감시림프절 검사 시 Filter의 유용성 평가
- 전신 뼈 스캔 후 경과 시간 차이에 따른 ²⁰¹Tl 심근관류 SPECT 영상의 영향 평가
- 정적 영상에서 Noise Reduction Software의 이해와 적용
- 감마영상과 실사영상의 Fusion
- 전신 뼈 검사에서 Wide Beam Reconstruction 기법의 유용성
- 서울아산병원의 적혈구 표지 방법에서 교반 시간 차이에 따른 표지 효율의 분석
- 저칼슘혈증 예측지표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검사반응시간에 따른 유용성
-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 병실의 최대치 산출
- ⁹⁹ᵐTc-DMSA 신장 검사에서 ROI 설정 방법에 따른 정량분석 차이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55Fe와 59/63Ni의 화학분리 중 목적원소 및 방해원소 거동 특성 연구
- 진단참고 준위를 적용한 선량 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변화 평가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