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신 뼈 검사에서 Wide Beam Reconstruction 기법의 유용성
이용수 2
- 영문명
- Utility of Wide Beam Reconstruction in Whole Body Bone Scan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김정열(Jung Yul Kim) 강청구(Chung Koo Kang) 박민수(Hoon Hee Park) 박훈희(Min Soo Park) 임한상(Han Sang Lim) 김재삼(Jae Sam Kim) 이창호(Chang Ho Lee)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14 No.1, 83~8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Korea Purpose: The Wide Beam Reconstruction (WBR) algorithms that UltraSPECT, Ltd. (U.S) has provides solutions which improved image resolution by eliminating the effect of the line spread function by collimator and suppression of the noise. It controls the resolution and noise level automatically and yields unsurpassed image quality. The aim of this study is WBR of whole body bone scan in usefulness of clinical applic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tandard line source and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reconstructed spatial resolution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an INFINA (GE, Milwaukee, WI) gamma camera, equipped with low energy high resolution (LEHR) collimators. The total counts of line source measurements with 200 kcps and 300 kcps. The SPECT phantoms analyzed spatial resolution by the changing matrix size. Also a clinical evaluation study was performed with forty three patients, referred for bone scans. First group altered scan speed with 20 and 30 cm/min and dosage of 740 MBq (20 mCi) of ⁹⁹ᵐTc-HDP administered but second group altered dosage of ⁹⁹ᵐTc-HDP with 740 and 1,110 MBq (20 mCi and 30 mCi) in same scan speed. The acquired data was reconstructed using the typical clinical protocol in use and the WBR protocol. The patient’s information was removed and a blind reading was done on each reconstruction method. For each reading, a questionnaire was completed in which the reader was asked to evaluate, on a scale of 1-5 point. Results: The result of planar WBR data improved resolution more than 10%. The Full-Width at Half-Maximum (FWHM) of WBR data improved about 16% (Standard: 8.45, WBR: 7.09). SPECT WBR data improved resolution more than about 50% and evaluate FWHM of WBR data (Standard: 3.52, WBR: 1.65). A clinical evaluation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 which includes improvement of the bone to soft tissue ratio and the image resolution (first group p=0.07, second group p=0.458). Conclusion: The WBR method allows to shorten the acquisition time of bone scans while simultaneously providing improved image quality and to reduce the dosage of radiopharmaceuticals reducing radiation dose. Therefore, the WBR method can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clinical applications to provide clinical values as well as image quality.
목차
서론
실험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및 결론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ET/CT 검사에서 호흡에 따른 인공산물을 줄이기 위한 Average CT의 유용성
- 동적 영상 획득 방식을 이용한 정적 영상의 움직임 보정
- 핵의학과 Video Display Terminals Syndrome 유해요인 조사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⁹⁹ᵐTc-DTPA를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 측정에서 주사 전 선량계수치의 평가
- F-18-FPCIP 뇌 영상에서 True-X 재구성 기법을 기반으로 했을 때의 Iteration과 Subset의 영향
- 한국인 일반인의 혈청 25-Hydroxy Vitamin D₃의 분석
- 이중 에너지 엑스레이 흡수기의 가동 시간에 따른 골밀도 값의 평가
- ²⁰¹Tl을 이용한 레이노 검사에서 동적 Composite 영상의 유용성
- PET/CT 2D와 3D 영상 획득에서 방사능 집적에 따른 방사능 농도의 평가
- 산란보정 전, 후의 SPECT 대조도 및 분해능 평가
- 폐와 심근에서 전이성 석회화가 발견된 골 스캔
- Fusion &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3D 재구성 영상에서 Region Cut Subtraction의 유용성
- 반사성교감신경 이영양증후군 환자의 삼상 골 스캔 시 Half Body 혈액 풀 영상의 적용
- FDG 사용 시 Dose Calibrator에 따른 SUV에 미치는 영향
- 통계적 분석을 통한 Insulin의 정상 참고치 설정
- FDG 합성 후 질소가스를 이용한 튜빙의 잔류 ¹⁸F-FDG 최소화를 위한 방법의 유용성
- PET/CT 3차원 영상 획득에서 부분용적효과 감소를 위한 재구성법의 최적화
- Breast Specific Gamma Imaging 장비의 성능평가
- Phytate를 이용한 감시림프절 검사 시 Filter의 유용성 평가
- 전신 뼈 스캔 후 경과 시간 차이에 따른 ²⁰¹Tl 심근관류 SPECT 영상의 영향 평가
- 정적 영상에서 Noise Reduction Software의 이해와 적용
- 감마영상과 실사영상의 Fusion
- 전신 뼈 검사에서 Wide Beam Reconstruction 기법의 유용성
- 서울아산병원의 적혈구 표지 방법에서 교반 시간 차이에 따른 표지 효율의 분석
- 저칼슘혈증 예측지표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검사반응시간에 따른 유용성
-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 병실의 최대치 산출
- ⁹⁹ᵐTc-DMSA 신장 검사에서 ROI 설정 방법에 따른 정량분석 차이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55Fe와 59/63Ni의 화학분리 중 목적원소 및 방해원소 거동 특성 연구
- 진단참고 준위를 적용한 선량 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변화 평가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