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V 예능 프로그램 자막에 나타난 언어유희의 표현 양상과 한국어교육
이용수 250
- 영문명
- A study of language play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in subtitles of television entertainment program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박나려(Piao, Na-li)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6輯, 323~36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nguistic levels and functions of language play in the subtitles of TV entertainment programs, which have not been well studied in the field of language education, and to suggest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475 subtitles containing language plays in 36 TV entertainment programs were extracted and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ypes: Use of homophones and similar sounds, Sound repetition, Syllable substitution and addition, Transformation of existing texts, Utilize the spacing, Antithesis, Three-line acrostic poem, Use of homophones and polysemy, use of Chinese characters, abbreviations and Paraphrasing, visual pun. As a result, we found that in addition to its basic function of making people laugh, language play in subtitles also plays a role in drawing the viewer's attention and emphasizing the content to be conveyed, and even in covertly presenting sensitive or taboo expres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d that language humor in subtitles can be used to enhance learners' linguistic and cultural knowledge, meta-linguistic awareness and multimodal literacy, and can be used as a language assessment tool.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자막언어 속 언어유희 표현 양상
4. 한국어교육에서의 자막언어 속 언어 유희 표현 활용 가능성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난 서사에 내재된 공포 정치와 젠더 레짐
- 곤암 소세량의 삶과 시세계
- 전남 완도군 해녀의 언어 연구
- 백석의 작품을 통해 본 정주 지역어의 음운현상에 대한 고찰
- 부동사형 어미의 구조적 분류를 위한 기준 재검토
- 중앙아시아 고려인 설화의 수용양상
- 콘텐츠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은유를 활용한 대학생의 성찰적 글쓰기 방안 제언
- TV 예능 프로그램 자막에 나타난 언어유희의 표현 양상과 한국어교육
- 배경설화에서 본 <구지가>와 <해가>의 선후관계 해명
- 한국언어문학 第126輯 목차
- 고려인 청소년 및 청년들의 한국어 인식과 태도 연구
- 『남천일록』의 문학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