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석의 작품을 통해 본 정주 지역어의 음운현상에 대한 고찰
이용수 35
- 영문명
-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Jeongju Dialect through Baek Seok’s Literary Work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송미영(Song, Mi-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6輯, 31~6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onological phenomena shown in Baek Seok's literary works. Baek Seok(1912~1996) who was born in Ikseong-dong, Galsan-myeon, Jeongju-gun of Pyeonganbuk-do in 1912, graduated from Osan Primary School and Osan High School. After going through the writing practice period, he made his debut as a writer by winning the prize in the Chosun Ilbo New-Year Literary Contest in 1930.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t. of English in Cheongsan School of Tokyo, he started working as a proofreading reporter of Chosun Ilbo from the following year(1935). For about three years from 1936, he worked as a teacher of Yeongsaeng High School of Hamheung. After the liberation, he moved from his hometown Jeongju to Yanggang-do near Amnok River. Before he passed away in 1996, he cultivated literary people there. Baek Seok published his poetical works Deer in 1936. By following Irish novelist James Augustine Aloysius Joyce who aimed to protect his mother tongue under the British colonization, he utilized proper nouns and sensory words using Pyeongan-do dialect. Except for several native words, the initial law and palatalization were not mostly applied. While the front-vowelization was rarely applied, the high-vowelization was realized into ‘ㅗ > ㅜ’ and ‘ㅓ> ㅡ’, and the umlaut was realized into ‘ㅏ>ㅐ’ and ‘ㅓ>ㅔ’. In most cases, the vowel harmony was not followed while there was the vowel addition for the formation of rules. Such phonological phenomena not on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Jeongju dialect of Pyeonganbuk-do, but also show the renovated form according to the progressive assimilation of each dialect area.
목차
1. 서론
2. 백석의작품과평안북도정주지역어
3. 백석의 작품에서발견되는 주요음운현상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 第126輯 목차
- 전남 완도군 해녀의 언어 연구
- 부동사형 어미의 구조적 분류를 위한 기준 재검토
- 백석의 작품을 통해 본 정주 지역어의 음운현상에 대한 고찰
- 곤암 소세량의 삶과 시세계
- 『남천일록』의 문학적 고찰
- 중앙아시아 고려인 설화의 수용양상
- 고려인 청소년 및 청년들의 한국어 인식과 태도 연구
- 재난 서사에 내재된 공포 정치와 젠더 레짐
- 콘텐츠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은유를 활용한 대학생의 성찰적 글쓰기 방안 제언
- TV 예능 프로그램 자막에 나타난 언어유희의 표현 양상과 한국어교육
- 배경설화에서 본 <구지가>와 <해가>의 선후관계 해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