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곤암 소세량의 삶과 시세계
이용수 16
- 영문명
- A Study on the Life and Poetic World of Gonam So Se-ryang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나상필(Na, Sang-pil)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6輯, 161~19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d his family line and overall life, focusing on 『Byeongamjip』, 『Gonamjip』, a collection of writings by Kunam So Se-ryang born in Iksan, Jeollabuk-do from the 15th to 16th centuries, summarized and reviewed the two collections before considering his watch. Gonam left a number of Chinese poems while interacting with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such as Cho Gwan-gjo, Lee Eon-jeok, Kim An-guk, and Kim Jong-guk, but politically, he was not noticed because he lacked clear footprints other than records of his participation in the sutra. In addition, the titles of 『Byeongamjip』 printed in 1748 and 『Gonamjip』 printed in 1929 were different, causing one literary collection to invite two literary collections on the web. Gonam, who was active during the period when Chinese poetry flourished most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left 176 Chinese poems with 230 titles, First, it is a poem with the tendency of “gwangak-style” created in government life, secondly, it is written in the form of a diary to pay tribute to his father with grain, and thirdly, it can be divided into Gonam's Chinese poems. Based on the ideology of royal politics, Gonam created a Chinese poem to understand Taoism in practical and realistic terms because the spirit of Sarim, who wanted to realize more than supreme rule, was deeply based on it.
목차
1. 들어가며
2. 곤암의 가계와 생애
3. 『屛巖集』과 『困菴集』 개괄 및 검토
4. 곤암의 시세계
5. 나오며 – 남은 문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난 서사에 내재된 공포 정치와 젠더 레짐
- 곤암 소세량의 삶과 시세계
- 전남 완도군 해녀의 언어 연구
- 백석의 작품을 통해 본 정주 지역어의 음운현상에 대한 고찰
- 부동사형 어미의 구조적 분류를 위한 기준 재검토
- 중앙아시아 고려인 설화의 수용양상
- 콘텐츠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은유를 활용한 대학생의 성찰적 글쓰기 방안 제언
- TV 예능 프로그램 자막에 나타난 언어유희의 표현 양상과 한국어교육
- 배경설화에서 본 <구지가>와 <해가>의 선후관계 해명
- 한국언어문학 第126輯 목차
- 고려인 청소년 및 청년들의 한국어 인식과 태도 연구
- 『남천일록』의 문학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