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체의 자유에 대한 기본권 체계와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

이용수 22

영문명
A System of the Freedom of the Body and the Right not to Be Harmed in the Body
발행기관
한국헌법학회
저자명
김진곤(Jin Gon Kim)
간행물 정보
『헌법학연구』第29卷 第4號, 131~171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간의 생명과 신체는 불가침의 속성을 갖는 요소이다. 오늘날 입헌국가가 이 두 가지를 기본권적 지위의 선두에 두는 이유도 다른 기본권의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헌법은 생명권과 신체의 자유를 인신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그 가치의 보호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 우리 헌법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현행 헌법에 생명권과 신체불훼손권에 대한 명시적 규정을 두지 않아 그 도출근거와 해석에 대하여 의견이 갈리고 있다. 현행 헌법이 당연히 이 두 기본권을 포함하고 있다고 보면서도 그 근거에 대하여는 다른 의견들이 존재한다. 그 주요한 근거로 헌법 제10조, 제12조 그리고 제37조 제1항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조항의 체계적 이해의 구조 내에서 생명권 및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는 그 지위를 갖는다. 생명권은 그 보호대상에 대하여 역사적 발전 속에서 그 선명성을 확인하였으나, 현행 헌법의 구조 안에서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는 그다지 크게 주목을 받지 않았다. 헌법재판소 또한 신체의 자유를 논증할 때 개괄적인 설명에만 그치고, 심도 있는 논증을 펼치지는 않았다. 그런 만큼 신체불훼손권은 그 보호가치와 범위의 확장이 미약하였으며, 문제된 사안에서 제대로 심사기준으로 등장하지 못하고 잠재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이 글은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의 보호영역을 신체활동의 자유과 구분하여 그 독자적 영역을 확인하고, 심사기준으로서 그 효용성을 부각시키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sanctity of human life and the inviolability of the human body are inherent elements. In contemporary constitutional states, these two aspects are placed at the forefront of fundamental rights, serving as the foundation for various other rights. Consequently, the constitution not only addresses the right to life and bodily integrity in the context of personal autonomy as paramount but also dedicates considerable attention to safeguarding these values throughout the course of human history. Our constitution follows suit in this regard. However, the current constitution lacks explicit provisions regarding the right to life and the right to bodily integrity, leading to divergent opinions on their derivation and interpretation. While some perceive the implicit inclusion of these rights in the existing constitution, differing perspectives exist on the legal basis for such inclusion. Key references include Articles 10, 12, and 37(1) of the constitution, within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se provisions lies the right not to be harmed in life and body. While the right to life has undergone a clear evolution in terms of its protected scope throughout historical development, the right not to be harmed in the body has not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within the structure of the current constitution. Even the Constitutional Court, when discussing the freedom of the body, has limited its arguments to general explanations without delving into profound discourse. Consequently, the right to bodily integrity has seen modest recognition in terms of its protective value and scope, often remaining latent and inadequately scrutinized in pertinent cases. This article aims to distinguish the protection domain of the right not to be harmed in the body from the freedom of bodily activity, emphasizing its distinct sphere and highlighting its utility as a criterion for judicial review.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인신에 관한 기본권 체계
Ⅲ.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
Ⅳ. 기본권 보호의무 및 다른 기본권과 보호영역의 경쟁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곤(Jin Gon Kim). (2023).신체의 자유에 대한 기본권 체계와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 헌법학연구, 29 (4), 131-171

MLA

김진곤(Jin Gon Kim). "신체의 자유에 대한 기본권 체계와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 헌법학연구, 29.4(2023): 131-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