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SAT(공직적격성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이용수 12

영문명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PSAT(Public Service Aptitude Test)
발행기관
한국인간과자연학회
저자명
최수정(SU-JEONG CHOI)
간행물 정보
『인간과자연』제4권 제2호, 347~38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04년 도입된 PSAT(공직적격성평가)는 공직수행에 필요한 자질과 능력을 검정하기 위하여 정상적인 학교교육을 통하여 습득할 수 있는 종합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평가시스템이다. 변화하는 시대에 맞서 아는 것보다는 조직이 필요로 하는 적성과 역량을 갖춘 인재채용을 목적으로 실제문제를 해결하고 업무에서 성과를 내는 “문제해결형” 목적으로 하게 되었다. 그러나 20여년의 시간이 지난 현재, 과연 이 시험이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는 목적을 충실히 이행하였는가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PSAT(공직적격성평가)는 공직적격성평가이므로 공무원의 특수성과 전문성이 재고되어야 하고 공직채용시험에 있어서 과연 공직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는데 공직자 핵심 역량과의 상관관계가 있는가, 즉, 실무능력을 갖추었는가를 다시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 공무원이란 다른 직업과는 달리 어떤 특징이 있으며, 행정적으로는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어떤 다른 점을 가지며, 현재 한국에서의 PSAT(공직적격성평가)는 과연 실정에 맞는 평가도구인지 그와 유사한 시험들과 비교해서 그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PSAT는 현재 공무원적격성 평가에서 효율성 면에서는 많은 효과를거두고 있으나 여전히 초기에 제시되었던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다. 시험 내적으로는 지문과 문제가 다른 시험과 반복 출제되거나 재활용되는 경향을 보이며, 외적으로는 1차와 2차의 연계부족, 실제 행정업무와의 연계 부족이 가장 큰 문제로파악되었다. 그 해결책으로 대학수학능력평가(수능)는 물론, LEET(법학적성시험)나NCS(국가직무능력표준)와 비교하여 시험시간과 지문에 변화를 준다던가, 출제처의다양화, 그리고 실제업무와 연계하는 등의 방안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PSAT(Public Service Aptitude Test)), introduced in 2004, is an evaluation system that measures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that can be acquired through normal school education to test the qualities and abilities necessary to perform public office. Rather than knowing against the changing times, the purpose of “problem-solving” is to solve real problems and achieve results in work for the purpose of recruiting talented people with the aptitude and competence required by the organization. However, more than 20 years later, questions are being raised as to whether the test faithfully fulfilled the purpose of selecting talented people with practical skill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specificity and expertise of public officials because PSAT(Public Service Aptitude Test) is a public office qualification evaluation, and to reexamine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with the core competencies of public officials in selecting talented people suitable for public office in the public office recruitment examination. To this end, public officials have some characteristics unlike other occupations, some administrative differences from other countries, and PSAT (Public Service Aptitude Test) in Korea has identified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compared to similar tests. As a result, PSAT is currently achieving great results in terms of efficiency in evaluating civil service qualifications, but it still has the problems that were initially presented. Internally, passages and questions tend to be repeated or recycled with other tests, and externally,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sts and lack of connection with actual administrative work were identified as the biggest problems. The solution is to change the test time and passages compared to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LEET (legal Education Eligibility test)) or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diversify the test sources, and link it with actual work. It suggests ways to do so.

목차

1. 머리말
2. 공무원과 한국행정의 변화
3. PSAT (공직적격성평가)와 공무원의 실무능력
4. 개선방안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수정(SU-JEONG CHOI). (2023).PSAT(공직적격성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인간과자연, 4 (2), 347-386

MLA

최수정(SU-JEONG CHOI). "PSAT(공직적격성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인간과자연, 4.2(2023): 347-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