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五代시기 “燕雲16州” 割讓의 역사적 배경 고찰
이용수 39
- 영문명
- The History of “Yan-Yun 16 Prefectures” during the Five Dynasties: Focusing on the Later Jin dynasty, 936-947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이장욱(Chang Wook Lee)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4권 제2호, 41~6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중국사에서 지금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요 사건 중 하나인 후진시기의 “연운16주” 할양을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고찰해보고, 또한 후대에 끼친 영향도 알아보았다.
본 고는 먼저 “연운16주”의 역사적 배경과 전략적 가치를 진한 시기부터 당 후기까지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후진 왕조를 세운 석경당이 거란의 군사원조를 얻기 위해 “연운16주”라는 전략적 요충지를 기어이 거란에 넘겨주어야만 했는지에관한 당시 상황에 주목하였다. 여기에서는 석경당뿐만 아니라, 그의 이와 같은 영토할양 결정에 큰 영향을 끼친 상유한과 유지원, 그리고 조덕균이라는 인물과 그들과 관련된 사건 중심으로 각자의 입장도 들여다보았다. 이처럼 당시의 시대적 맥락과 주요 인물들이 처한 특정 상황을 자세히 분석함으로써, 이 역사적 사건을 다차원적으로 이해해 보려 하였다.
마지막으로 북송까지의 역사를 중심으로 “연운16주” 할양이 중국사에 끼친 역사적 의의를 알아보고, 나아가 동아시아 속에서의 “연운16주” 할양이 지닌 역사적의의도 함께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Historically, “Yan-Yun 16 Prefectures (燕雲16州)” were some of the important strategical places in early imperial China. These areas, which started in modern day Datong (大同) and ended in Tianjin (天津), included the capital city, Beijing (北 京) and were just below location of the Great Wall (長城). The main reason why the “Yan-Yun 16 Prefectures” were created by the imperial Chinese government was to better defend the border from threatening nomadic tribes such as the Xiongnu (匈奴), Xianbei (鮮卑), Youran (柔然), Turks (突厥) and Khitans (契丹), who had consistently attempted to break into the economically and culturally prospering Chinese empire. In other words, imperial China installed the prefectures as a major military bases to solidify state security.
Although there are many past studies on the “Yan-Yun 16 Prefectures,” there are still many un-answered historical questions, including why the Later Jin (後晉) had ceded this strategic area to the Khitan Empire. More specifically, why the first emperor of the Later Jin agreed to this bad policy decision made by his main political advisor Sang Weihan (桑維翰)? And Why did Sang himself, who was one of the top elites in the Chinese Empire, made such a suggestion to the emperor? Finally, during the cessation of the prefectures to the Khitans, what was the position and role of the military warlords, Liu Zhiyuan (劉知遠) and Zhao Dejun (趙德鈞)?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is delved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Yan-Yun 16 Prefectures” in the first chapter and examines the strategic importance of these areas from the Qin-Han (秦漢) through late Tang (唐後期). Following this, the paper investigates the main reasons as to why the Later Jin ceded the prefectures to the Khitan empire through carefully analyzing the roles of four individuals, specifically emperor Shi Jingtang (石敬塘), Sang Weihan, Liu Zhiyuan and Zhao Dejun. Finally, in the last chapter, the paper discuss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Yan-Yun 16 Prefectures” through analysis of the Later period of Five Dynasties up to mid Northern Song when the Chinese Empire significantly re-established its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Koryo dynasty in 1071.
Through the re-examination of the “Yan-Yun 16 Prefectures,” this paper hope to make an academic contribution to the scholarly world and help us to understand the politically / militarily significant areas in imperial Chinese histor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연운16주” 전략적 가치의 역사적 배경
3. “연운16주” 할양과 後晉 왕조 창건
4.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과자연 제4권 제2호 목차
- 냉면, 만들어진 전통음식문화
- 『동의수세보원』의 생기(生氣)와 한방꽃차
- 五代시기 “燕雲16州” 割讓의 역사적 배경 고찰
- 안수(晏殊)가 노래한 염정(艶情)과 한정(閑情), 북송(北宋)의 아사파(雅詞派)를 선도하다
- 항주(杭州) 서호(西湖)와 지역문학 교육
- 홉스의 『리바이어던』 4부 ‘어둠의 왕국’에 나타난 수사학적 언어관과 상상력
- 문화적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문화정책 연구
- 가상계에서의 무정의 용어와 공리
- 2022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에 관한 분석과 윤리·철학적 제언
- 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과 성패
- 이미지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 방향성에 관한 기초논의
- 매칭에 의한 정규직-비정규직의 임금격차 추정
- PSAT(공직적격성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주역』에 나타난 치세(治世)에서의 행위 방식
-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혼밥의 온라인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