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찰의 인권보호 정책에 대한 시민인식
이용수 164
- 영문명
- Citizens' perception of the police's human rights protection policy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이재영(Jae 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9권 제4호, 143~15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찰은 시민의 인권보호가 조직의 책무임을 공고히 하고 인권관련 법제도를 정비하며 인권친화적 경찰로의 변화를 시도해왔다. 그러나 시민들이 이와 같은 변화를 얼마나 체감하고 있으며 경찰의 인권정책에 대하여 높은 수용도를 보이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이에 이 연구는 경찰의 인권보호 정책에 대하여 시민들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경찰 인권보호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미디어를 통한인권침해 경험, 경찰 신뢰, 인권정책 인지도 등이 경찰의 인권보호 정책에 대한 시민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 연령, 지역별(17개 시도) 비례할당된 표본 8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경찰활동과 인권과의 관련성에 대한 시민인식은 모두 평균 3.4이상의 값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권보호활동과 관련 있는 경찰기능으로 생활안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38.9%), 그 다음으로 수사형사(34.3%) 기능이라고 답하였다. 시행 중인 인권관련 제도와 관련해서는 범죄자 관리제도 및 범죄피해 영향평가의 필요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미디어를 통한 인권침해 경험, 경찰에 대한 신뢰, 경찰의 인권정책 인지도가 경찰의 인권보호 정책에 대한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olice organizations have been attempting to change to human rights-friendly police by reorganizing the human rights-related legal system. However, questions still remain as to how much citizens are experiencing such changes and whether they are highly receptive to the police's human rights polic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citizens' perceptions of the police's human rights protection policy and what variables affect their perceptions. Specifically,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rough the media, police trust, and human rights policy awareness on citizens' perceptions of the police's human rights protection policy was empirically analyzed.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800 people proportionally allocated by gender, age, and reg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of the ques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activities and human rights was all over 3.4. In addition, citizens recognized that the life safety function was most related to human rights protection activities. Citizens high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criminal management system and the victim assessment repor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rough the media, trust in the police, and awareness of the human rights poli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itizens' perception of the police's human rights protection policie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adamer 관점에 따른 묻지마 범죄에 대한 음악치료 현장에서의 창의성 이해
- 텍스트분석을 활용한 아동학대 동향 분석
- 모의 배심원의 성별, 피해자의 저항 여부와 지적장애 유무가 성폭력 처벌 판단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부정적 자기인식, 부모방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인신매매 피해자 식별지표의 활용과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
- 사이버폭력에 대한 자기통제력과 다차원적 도덕성 요인의 상호작용효과
- 경찰의 인권보호 정책에 대한 시민인식
- 시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경찰활동의 위축
- 대구 달서구 공원의 범죄 안전성 평가
- 미국 마약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한 한국의 마약정책 고찰
- 부사관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치경찰제 도입과 지역경찰 서비스 향상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