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Gadamer 관점에 따른 묻지마 범죄에 대한 음악치료 현장에서의 창의성 이해
이용수 160
- 영문명
- Understanding creativity in music therapy through Gadamer's perspective on Do-not-ask Crime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김성기(Sung Ki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9권 제4호, 19~3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묻자마 범죄는 전통적 사건들과 달리 특정 원인 없이 불특정인 또는 불특정 다수에게 일어남으로 누구나 묻지마 범죄의 피해자가 될 수 있어 많은 사람들에게 심각한 두려움을 준다. 그리고 누가 묻지마 범죄의 잠재적 가해자에서 실제적 가해자가 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구별이 힘들어 예방에 있어 혼동이 발생한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뭄지마 범죄의 가해자들은 일반적으로열악한 경제적·가정적 환경, 인지, 사고, 충동성조절, 그리고 감정조절능력 등의 공통적 문제를 가진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상당수 뭄지마 범죄 가해자들은 정신병력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그리고 향정신성 약물중독에 따른 사고장애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묻지마 범죄 가해자들에 대하여 법적인 처벌의 강도는 높이기보다는 약물치료와 함께 대인관계 훈련, 예술치료, 가족교육 등을 포함하는 정신재활치료가 더욱 절실한 것으로 판단되고, 묻지마 범죄에 대한 선제적 예방을 위해 다양한기관들과의 정보 공유와 협조체계 구축이 절실하다고 사료된다. 우선 치료적 접근에 있어 묻지마 범죄 가해자들에 대한 다양한이해가 있을 수 있지만 묻지마 범죄는 단순히 증상으로 이해하고 증상의 감소나 제거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묻지마 범죄자들의 심리적 상태를 지평융합의 과정으로, 변증법상 임시적이고 중간태적인 상황으로 이해함으로써 가해자들의 창의성 형성 그리고 이 창의성이 활발히 발현될 수 있는 예술과 놀이(Spiel)의 역할을 통한 치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Unlike traditional incidents, “Do-not-ask” crimes occur against unspecified peopl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without a specific cause, so anyone can become a victim of “Do-not-ask” crimes, causing serious fear in many people. And, regardless of who is involved, it is difficult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a potential perpetrator of a crime and an actual perpetrator, leading to confusion in prevention. Through research to date, it is understood that perpetrators of “Do-not-ask” crimes generally have common problems such as poor economic and family environments, cognition, thinking, impulsiveness control, and emotional control abilities. Additionally, many perpetrators of “Do-not-ask” crimes have a history of mental illness and/or have a thinking disorder due to addiction to psychotropic drugs. Rather than increasing the severity of legal punishment for perpetrators of “Do-not-ask” crimes who have these problems, it is judged that mental rehabilitation treatment that includes drug treatment, interpersonal training, art therapy, and family education is more urgent, and preemptive measures against random crimes are considered more urgent. It is believed that information sharing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with various organizations are urgently needed for prevention. First of all, in terms of therapeutic approach, there may be various understandings of perpetrators of crime without question, but crime without question is understood simply as a symptom and the goal is not to reduce or eliminate symptoms, but rather the psychological state of criminals without question is a process of horizon fusion, dialectic. By understanding it as a temporary and intermediate situation, we aim to suggest a direction for healing through the formation of perpetrators' creativity and the role of art and play (Spiel) where this creativity can be actively expressed.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Gadamer관점에서 묻지마 범죄
4. 음악치료
5. 지금까지의 묻지마 범죄 대응
6.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adamer 관점에 따른 묻지마 범죄에 대한 음악치료 현장에서의 창의성 이해
- 텍스트분석을 활용한 아동학대 동향 분석
- 모의 배심원의 성별, 피해자의 저항 여부와 지적장애 유무가 성폭력 처벌 판단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부정적 자기인식, 부모방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인신매매 피해자 식별지표의 활용과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
- 사이버폭력에 대한 자기통제력과 다차원적 도덕성 요인의 상호작용효과
- 경찰의 인권보호 정책에 대한 시민인식
- 시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경찰활동의 위축
- 대구 달서구 공원의 범죄 안전성 평가
- 미국 마약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한 한국의 마약정책 고찰
- 부사관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치경찰제 도입과 지역경찰 서비스 향상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