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이버폭력에 대한 자기통제력과 다차원적 도덕성 요인의 상호작용효과
이용수 169
- 영문명
- Interaction Effects of Self-Control and Multidimensional Moral Factors on Cyberbullying: Partial Validation of the Situational Action Theory(SAT)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이승준(Seung Jun Lee) 곽대경(Dea Gyung Kwack)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9권 제4호, 127~14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황적 행동이론(SAT) 중 PEA 모델에서 필수적 과정이자 정신적 과정인 인지-선택 과정 및 도덕적 필터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2015년 청소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총5,151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이버폭력에 대한 낮은 자기통제력과 여러 차원의 도덕성의 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변수에서 낮은 자기통제력 및 모든 도덕성 요인들이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효과에 대해서는 도덕적 규범만이 자기통제력과 상호작용하여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치며, 도덕적 규범의 수준에 따라 자기통제력의 효과가 달라져, 도덕적 필터 및 인지-선택 과정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데이터의 한계, 방법론적 한계에도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내에서 주로 연구되지 않는 상황적 행동이론(SAT)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경험 연구에 기여했으며, 도덕적 규범의 중요성을 시사하여 정책적 제언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essential mental processes, namely the perception-choice process and the moral filter, in the PEA model within the Situational Action Theory(SAT).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ow self-control and various dimensions of morality on cyberbullying among a total of 5,151 adolescen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low self-control and all moral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cyberbullying. Concerning interaction effects, only moral rule interacted with self-control, impacting cyberbullying. Additionally, the effect of self-control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moral rule, supporting the role of the moral filter and perception-choice process. Despite limitations in the secondary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d the seldom-studied Situational Action Theory(SAT) in the domestic context, contributing to experiential research and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oral rule.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adamer 관점에 따른 묻지마 범죄에 대한 음악치료 현장에서의 창의성 이해
- 텍스트분석을 활용한 아동학대 동향 분석
- 모의 배심원의 성별, 피해자의 저항 여부와 지적장애 유무가 성폭력 처벌 판단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부정적 자기인식, 부모방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인신매매 피해자 식별지표의 활용과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
- 사이버폭력에 대한 자기통제력과 다차원적 도덕성 요인의 상호작용효과
- 경찰의 인권보호 정책에 대한 시민인식
- 시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경찰활동의 위축
- 대구 달서구 공원의 범죄 안전성 평가
- 미국 마약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한 한국의 마약정책 고찰
- 부사관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치경찰제 도입과 지역경찰 서비스 향상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