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마약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한 한국의 마약정책 고찰
이용수 485
-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Drug Policy through U.S. Drug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신재우(Jae Woo Shin) 이완희(Wan He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9권 제4호, 79~9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유형의 신종마약류(New Psychoactive Substances: NPS)가 유행처럼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유통방식도 날로 진화함에 따라 마약류 범죄사건은 그 어느 때보다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마약류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면서 기존의 마약 관련 기관들의 기능과 역할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이 되었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마약 없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공급을 통제·억제하는 형사사법적 처벌모델과 중독자를 재활하는 의료/치료모델을 병용하고 있다. 다시 말해, 큰 틀에서공급통제정책은 주로 철저한 단속과 강력한 처벌에 의존하고 수요억제정책은 치료와 재활 등을 통해 사전적 예방 초점을 두어균형적인 전략을 추구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마약 정책을 펼쳤던 국가들은 불균형적인 정책으로 많은 부작용을 겪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균형적인 정책집행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다. 하지만 그 성과에 있어서 국가별 정부의 노력과 예산에 따라천차만별이며, 마약을 관리하는 조직의 구조 또한 다양하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마약 관련 기관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미국의마약류 통합관리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검토한다. 주로 미국의 마약단속청(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DEA)의 등장배경과 역사적으로 변화해 온 마약정책과 그에 따른 문제점들을 통해 우리나라의 마약정책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해본다. 우리보다 먼저 경험하고 발전시켜 온 미국의 종합적인 마약류 정책들의 장단점들을 통해 마약으로부터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는구체적이고 실용적인 균형 잡힌 마약 정책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즉,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효율적으로 마약을 대처하는 실용적인 국가시스템을 구축하고 나아가 국민을 마약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New Psychoactive Substances (NPS) are spreading like a trend around the world, and the number of drug crimes is increasing more than ever as distribution methods evolve day by day. Recently, as the drug problem has become increasingly serious, it has become an unbearable reality with the functions and roles of existing drug-related institutions. Most countries use a combination of criminal justice punishment models that control and deter drug supply to make the drug-free society and medical & treatment models that rehabilitate addicts. In other words, supply control policies rely mainly on thorough crackdowns and strong punishment, and demand control policies pursue balanced strategies by focusing on prevention in advance through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However, countries that have implemented most drug policies have experienced many side effects from unbalanced policies and are making great efforts to make balanced policies to solve them. However, the results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efforts and budgets of each government, also the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 that manages drugs is diverse. Current study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drug-related institutions and review the U.S. drug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IMS). And mainly discuss the direction of Korea's drug policy through the background and historical changes of the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DEA). It is meaningful in preparing a specific and practical balanced drug policy that can create a drug-free society through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U.S. drug IMS . At the conclusion this study establishes a practical national system to efficiently deal with drugs and in turn protect citizen from drugs.
목차
1. 서 론
2. 국내 마약통제시스템
3. 미국 마약통제시스템
4. 국내 마약 통합관리시스템의 문제점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adamer 관점에 따른 묻지마 범죄에 대한 음악치료 현장에서의 창의성 이해
- 텍스트분석을 활용한 아동학대 동향 분석
- 모의 배심원의 성별, 피해자의 저항 여부와 지적장애 유무가 성폭력 처벌 판단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부정적 자기인식, 부모방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인신매매 피해자 식별지표의 활용과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
- 사이버폭력에 대한 자기통제력과 다차원적 도덕성 요인의 상호작용효과
- 경찰의 인권보호 정책에 대한 시민인식
- 시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경찰활동의 위축
- 대구 달서구 공원의 범죄 안전성 평가
- 미국 마약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한 한국의 마약정책 고찰
- 부사관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치경찰제 도입과 지역경찰 서비스 향상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로 조절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 자기개념 명확성, 진로 미결정 수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과보호 양육 태도의 관계
- 상담 분야 긍정심리학 연구 동향 : 텍스트 마이닝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