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구 달서구 공원의 범죄 안전성 평가
이용수 130
- 영문명
- Evaluation of Crime Safety in Dalseo-gu Park in Daegu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류준혁(Jun Hyuk Ryu)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9권 제4호, 33~4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잘 조성된 공원은 시민들의 공원 활용을 높여 시민들의 신체 활동과 정신 건강에 많은 이바지를 할 수 있지만 잘못 조성된공원은 사용자가 고립감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범죄와 원치 않는 활동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에 공원에서 발생한 강력범죄는 공원에서의 범죄로부터 시민의 안전에 대해 많은 의문을 초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시 달서구의 공원을 대상으로 공원이 범죄로부터 안전한가에 대한 평가를 목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선행연구들이 작은 표본 그리고 기술적인 연구방법을 도입한 데 비해 본 연구는 90개의 공원을 선정하였으며 평가 방법에서도 요인 분석 방법을 도입하여 정량적인 평가를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CPTED의 7가지 원리(자연적 감시, 전기적 감시, 기계적 감시, 활동성 지원, 자연적 접근 통제, 유지보수)를 평가 기준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7가지의 원리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공원 10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평가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공원이 포함된 지방자치단체가 범죄로부터 안전성이 낮은 공원들이 좀 더 안전한 공원이 되기 위해필요한 다양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A well-established park can contribute a lot to the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of citizens by increasing the use of the park by citizens, but a poorly-established park can make users feel isolated, and furthermore, it can provide opportunities for crime and unwanted activities. Recent violent crimes in parks have raised many questions about the safety of citizens from crimes in park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whether parks are safe from crime in parks in Dalseo-gu, Daegu. While previous studies introduced small samples and technical research methods, this study selected 90 parks and attempted a quantitative evaluation by introducing factor analysis methods in the evaluation method. Specifically, this study presented the 10 parks that received the lowest evaluation in the seven principles by performing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seven principles of CPTED (natural surveillance, electrical surveillance, mechanical surveillance, activity support, natural access control, and maintenance). Based on these evaluation results, this study presents various policy proposals necessary for local governments, including parks, to make parks safer from crime.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달서구 공원현황
4. 평가와 분석
5. 결론 및 정책 제안
6. 연구의 가치와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adamer 관점에 따른 묻지마 범죄에 대한 음악치료 현장에서의 창의성 이해
- 텍스트분석을 활용한 아동학대 동향 분석
- 모의 배심원의 성별, 피해자의 저항 여부와 지적장애 유무가 성폭력 처벌 판단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부정적 자기인식, 부모방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인신매매 피해자 식별지표의 활용과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
- 사이버폭력에 대한 자기통제력과 다차원적 도덕성 요인의 상호작용효과
- 경찰의 인권보호 정책에 대한 시민인식
- 시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경찰활동의 위축
- 대구 달서구 공원의 범죄 안전성 평가
- 미국 마약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한 한국의 마약정책 고찰
- 부사관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치경찰제 도입과 지역경찰 서비스 향상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