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의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경험 및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방안 탐색
이용수 107
- 영문명
- Exploring Prospective Teachers’ Experiences i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and Support Methods for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정지희 백예은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8권 제3호, 193~21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경험 및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방안을 탐색함
으로써, 질 높은 통합교육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참여자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면담
참여에 동의한 충청도 소재 H대학교 학생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지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장애인식 제고 및 관심 확장’, ‘통합교육 실행자로서의
역할 인식’,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요구’의 3가지 대주제와 이에 따른 7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장애인과 관련된 다
양한 이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통합교육 실행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이를 통해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보다 질 높은 통합교육
을 위한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학개론을 수강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경험을 심층
적으로 탐구하여 통합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both the experiences of prospective teachers who
have taken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and support methods for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thereby providing implications for high-quality inclusive education. For the
research, a series of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students from
H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who met the participant selection criteria and agreed to
participate. The interview content was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three main themes—‘Enhanc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and Broadening of
Interest’, ‘Perception of Role as Implementers of Inclusive Education’ and ‘Demands for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as well as seven sub-themes emerged. Participants report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developed an interest in various issues related to disabilities, and recognized their role as
implementers of inclusive education. Furthermore, they suggested various approaches for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The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discussed
strategies for achieving higher-quality inclusive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in-depth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s of prospective teachers who completed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to search for support methods for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장애학생 교육권 보장과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 지표 개발
- 일반고등학교에서 지적장애인이 경험한 잠재적 교육과정
- 전환기 발달장애 학생 부모의 자기결정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에 대한 종단적 질적연구
- 초등 1-4학년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산출 회상 능력과 작업기억과의 관계
- 한국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 개발
-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직업지식에 미치는 영향
- 예비 특수교사의 역량표준기반 시각장애학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경험 연구
- 예비교사의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경험 및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방안 탐색
- 태블릿PC를 활용한 Touchmath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덧셈 능력에 미치는 효과
- 경계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의 생애주기별 특성과 교육지원 요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