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학생 교육권 보장과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 지표 개발
이용수 108
- 영문명
- Development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Indicators to Guarantee Educational Righ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upport Inclusiv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홍정숙 옥민욱 표윤희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8권 제3호, 25~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교육권 보장과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교육 분야에서 정당한 편의 제공을 위한 기준과 지침 마련은 부재한 상황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당한 편의 관련 문헌연구와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정당한 편의 제공의
지표를 개발하였다. 델파이 조사지 문항은 문헌분석 및 예비문항 작성과 전문가 협의로 추출되었다. 1차와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정당한 편의의 지표가 5가지 하위영역(지원체제, 적절한 교육 및 평가, 인적 지원, 학습
보조기기 및 보조공학기기・보조견 지원, 시설・설비)의 51개 지표로 최종 개발되었다. 이 지표는 통합교육환경
에서 장애학생의 정당한 편의 제공을 위한 최소한의 기준과 지침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환
경에서 장애학생이 의미 있는 교육을 보장받기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이 무엇인지 구체적 기준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끌어낸 의의가 있다. 국내 통합교육의 질 제고에 본 연구 결과가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dicators for providing reasonable accommod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both guarantee educational righ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upport inclusive education. Until now, there have been no standards or guidelines
for providing reasonable accommodations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address this issue, we
developed indicators for providing reasonable accommodations by conducting literature reviews and
a Delphi survey with 20 experts. The Delphi survey questions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preparation of preliminary questions,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As a result of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the indicators for reasonable accommodations were developed,
comprising a total of 51 indicators across five sub-areas (support system, appropriate education
and evaluation, human support, learning an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assistant dog support,
and facilities and equipment). These indicators can serve as foundational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providing reasonable accommodation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This study holds significant importance as it pioneers the establishment of specific
standards for providing reasonable accommodations in South Korea, thereby ensuring meaningfu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wards improving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in South Kore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장애학생 교육권 보장과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 지표 개발
- 일반고등학교에서 지적장애인이 경험한 잠재적 교육과정
- 전환기 발달장애 학생 부모의 자기결정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에 대한 종단적 질적연구
- 초등 1-4학년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산출 회상 능력과 작업기억과의 관계
- 한국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 개발
-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직업지식에 미치는 영향
- 예비 특수교사의 역량표준기반 시각장애학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경험 연구
- 예비교사의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경험 및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방안 탐색
- 태블릿PC를 활용한 Touchmath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덧셈 능력에 미치는 효과
- 경계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의 생애주기별 특성과 교육지원 요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