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특수교사의 역량표준기반 시각장애학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경험 연구
이용수 37
- 영문명
- Standards-based Preparation for Teachi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 Exploration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진석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8권 제3호, 109~13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학생교육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 역량표준중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에
참여한 예비특수교사의 수행 내용과 학습 경험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 국내외 시각장애
특수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 및 핵심역량 목록을 추출한 다음, 학부 과정 예비특수교사를 대상으
로 한 15주 분량의 단기 프로그램을 기획 및 실행하였다. 연구자는 예비특수교사의 수행결과 및 학습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특수교육과 학생 8명의 포트폴리오 자료를 수집하여 전문역량 형성 결과를 분석하였고, 심층
면담자료를 수집한 다음 연역적 내용분석을 활용하여 학습경험을 역량별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예비특수교
사는 개별 시각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따른 교과 및 확대핵심교육과정 영역 교육프로그램과 감각매체에
따른 대체학습자료를 적절하게 제작하였다. 또한 시각장애를 지닌 학습자 이해, 교수학습 전문성, 현장 전문성
관련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역량중심 프로그램은 시각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특수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에 필요한 증거-기반의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총체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 15-week short-term program specialized in teachi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explored the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program. The researcher extracted core standards for teachi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review, then collected the outcome portfolios
and in-depth interview data from eigh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standards-based short-term activities provided practical and case-based learning
opportunities, enabling participants to acquire professional competencies for teachi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participants gained 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including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with visual impairments, expertise in teaching, and practical experience in school
settings. The study demonstrated how a standards-based approach benefit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viding them with authentic experiences and a solid foundation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장애학생 교육권 보장과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 지표 개발
- 일반고등학교에서 지적장애인이 경험한 잠재적 교육과정
- 전환기 발달장애 학생 부모의 자기결정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에 대한 종단적 질적연구
- 초등 1-4학년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산출 회상 능력과 작업기억과의 관계
- 한국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 개발
-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직업지식에 미치는 영향
- 예비 특수교사의 역량표준기반 시각장애학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경험 연구
- 예비교사의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경험 및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방안 탐색
- 태블릿PC를 활용한 Touchmath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덧셈 능력에 미치는 효과
- 경계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의 생애주기별 특성과 교육지원 요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