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계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의 생애주기별 특성과 교육지원 요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이용수 286
- 영문명
-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Support Needs by Life Cycle of Learner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Focusing on Gyeonggi-do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최승숙 주은미 임은주 남민우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8권 제3호, 279~31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경계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의 생애주기별 특성과 교육지원 요구를
살펴보기 위해 당사자, 학부모, 교사 및 관계 전문가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로 경계선급 지적 기능
청소년과 청년 12명, 학부모 8명, 교사 13명, 관계 전문가 19명, 총 52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2가지 대 주제인 ‘경계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의 생애주기
별 특성’ 및 ‘교육지원 요구’를 중심으로 16개의 상위범주와 38개의 하위범주, 82개의 내용을 도출하였다. 연
구결과, 경계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들은 학령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또래와의 수업 참여와 관계형성에 어려
움을 겪고 있고, 성인기에는 취업과 경제활동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학습자들을 위한 국
가 차원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의 요구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의 지원 방향에 대한 시사
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erceptions of parties, parents, teachers, and experts regarding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support needs by life cycle of learner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focusing on Gyeonggi-do. A total of 52 peopl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6 adolesc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6 young adults, 8 parents, 13 teachers,
and 19 relationship exper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through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the interview results were divided into 16
superordinate categories and 38 categories centered on two main themes such a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support needs of learner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Regarding
subcategories, 82 contents were derived. Learner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social adaptation throughout
their entire life cycle, from preschool to adulthood, and related experts said that life cycle-specific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was needed for these learn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on the direction of support for each life cycle were present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장애학생 교육권 보장과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 지표 개발
- 일반고등학교에서 지적장애인이 경험한 잠재적 교육과정
- 전환기 발달장애 학생 부모의 자기결정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에 대한 종단적 질적연구
- 초등 1-4학년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산출 회상 능력과 작업기억과의 관계
- 한국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 개발
-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직업지식에 미치는 영향
- 예비 특수교사의 역량표준기반 시각장애학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경험 연구
- 예비교사의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경험 및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방안 탐색
- 태블릿PC를 활용한 Touchmath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덧셈 능력에 미치는 효과
- 경계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의 생애주기별 특성과 교육지원 요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