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이용수 207
- 영문명
- 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alysis: Based on Bloom’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강은영(Kang, Eun Young) 홍희원(Hong, Heewon) 홍영숙(Hong, Youngsook) 이영호(Lee YoungHo)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8권 제3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2024학년도부터 실행되는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적용 방향성을 제안하고, 더 나아가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조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 총 684개를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전체 지식 유형의 분석 결과 사실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에 편중되어 있고, 인지 과정 유형 분석 결과는
‘기억하다’, ‘적용하다’가 편중 분포되어 있다. 둘째, 교과별 성취기준 지식 유형 결과는 체육, 진로와 직업 교과
를 제외한 모든 교과에서 사실적 지식 유형이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체육 교과는 절차적 지식, 진로와
직업 교과에는 메타인지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지 과정 유형의 경우 ‘기억하다’, ‘적용하다’, ‘이해하다’
순으로 많이 분포되었으며, 이차원 매트릭스 분석 결과 ‘사실적 지식-기억하다’ 유형이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
다. 셋째, 학년군별 성취기준 지식 유형 결과는 사실적 지식 유형이 모든 학년군에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이며,
절차적 지식이 그다음으로 높았다. 학년군별 성취기준 인지 과정 유형 결과 초등학교 군까지는 ‘기억하다’ 유형
이 가장 높았으나 중, 고등학교 군에서는 ‘적용하다’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차원 매트릭스 분석 결과
는 모든 학년 군에서 ‘사실적 지식-기억하다’ 유형의 진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2015 개정 특수교
육 기본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성취기준에서 특정 지식 유형, 인지 과정 유형의 편중된 분포가 나타나지만,
진로와 직업 교과에서 교과 특성으로 인해 메타인지 지식 유형이 높게 분포되었다는 점과,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비해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의 비율이 높게 분포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basic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proposed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of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which will be implemented from 2024, and further
presented a view of how the basic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ill be used in the school
field. To this end, a total of 684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were analyzed using Bloom’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entire knowledge type analysis are concentrated on
fac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cognitive process type analysis are
concentrated in ‘remember’ and ‘apply’. Second, the results of achievement standard knowledge
types by subject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of factual knowledge types in all subjects except
physical education,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while procedur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in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were the highest. In the case of cognitive process types,
‘remember,’ ‘apply,’ and ‘understand,’ and as a result of two-dimensional matrix analysis, the ‘realistic
knowledge-remember’ type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Third, the results of achievement
standard knowledge types by grade group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of factual knowledge
types in all grade groups, followed by procedural knowledge. As a result of the type of achievement
standard cognitive process by grade group, the ‘remember’ cognitive type was the highest rate until
elementary school group, however the ‘applying’ cognitive type was the highest rate in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and the two-dimensional matrix analysis showed the highest ‘factual
knowledge-remember’ type statement in all grade groups. Overall, like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lthough there is a biased distribution of specific knowledge types
and cognitive processes in achievement standards, it is significant in that meta-cognitive knowledge
types were highly distributed due to curriculum characteristics in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장애학생 교육권 보장과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 지표 개발
- 일반고등학교에서 지적장애인이 경험한 잠재적 교육과정
- 전환기 발달장애 학생 부모의 자기결정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에 대한 종단적 질적연구
- 초등 1-4학년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산출 회상 능력과 작업기억과의 관계
- 한국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 개발
-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직업지식에 미치는 영향
- 예비 특수교사의 역량표준기반 시각장애학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경험 연구
- 예비교사의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경험 및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방안 탐색
- 태블릿PC를 활용한 Touchmath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덧셈 능력에 미치는 효과
- 경계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의 생애주기별 특성과 교육지원 요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