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직업지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4
- 영문명
-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Job Cards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의연 이정은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8권 제3호, 55~7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직업지식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4∼6학년
지적장애 학생 20명(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이 참여하였다.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총 12회기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중재 효과의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는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고, 직업지식은 공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는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향상되었
으며, 전체 점수뿐 아니라 진로능력 및 진로태도의 하위영역별 점수 모두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
단의 직업지식 점수는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바탕으
로 지적장애 초등학생에게 체계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
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job cards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involved 2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grades 4 to 6 that are attending
special education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ith 1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the control group.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job cards was
implemented across 12 sessions dur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 pre-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o examine the
intervention effect o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areer maturity was analyzed with two
independent sample t tests and career knowledge was analyzed with the covariance analysis(ANC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not only the overall score, but the scores of each
sub-area of career ability and career attitude were improved as well. Second, the career knowledg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application and exploration of the systematic career
education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the
curriculu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장애학생 교육권 보장과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 지표 개발
- 일반고등학교에서 지적장애인이 경험한 잠재적 교육과정
- 전환기 발달장애 학생 부모의 자기결정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에 대한 종단적 질적연구
- 초등 1-4학년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산출 회상 능력과 작업기억과의 관계
- 한국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 개발
-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직업지식에 미치는 영향
- 예비 특수교사의 역량표준기반 시각장애학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경험 연구
- 예비교사의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경험 및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방안 탐색
- 태블릿PC를 활용한 Touchmath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덧셈 능력에 미치는 효과
- 경계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의 생애주기별 특성과 교육지원 요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